본문 바로가기

책추천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 ​제2부 율기(律己) 6조 ​2. 청렴한 마음[淸心] ​ 수령이 청렴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그를 도덕적으로 지목하여 마을을 지날 때에 더럽다고 욕하는 소리가 높을 것이니, 이 역시 수치스러운 일이다. ​ 고려의 나득황(羅得璜)이 백성들의 살을 깎아내듯 세금을 긁어 모으면서 최항(崔沆)에게 아첨하여 제주 부사(濟州副使)가 되었다. 송소(宋佋)가 제주 수령을 지내다가 횡령죄로 면직되고 나득황이 부임하게 되었는데, 사람들이 "제주가 전에는 작은 도적을 겪었는데 이제 큰 도적을 만났구나"라고 하였다. 이기(李墍)의 [송와잡설松窩雜設]에 이르기를, "국초(國初)에 함경도는 야인(野人)과 접해 있기 때문에 크고 작은 수령을 모두 무관에서 뽑아 보내는 것이 관례였으며, 게다가 조정으로..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 제2부 율기(律己) 6조 ​2. 청렴한 마음[淸心] ​ 예로부터 지혜가 깊은 선비는 청렴을 교훈으로 삼고, 탐욕을 경계했다. ​ 명나라의 풍유룡(馮猶龍)은 "천하의 한없이 못난 짓은 모두 돈을 버리지 못하는 데 따라 일어나고, 천하의 끝없이 좋은 일은 모두 돈을 버리는데 따라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정선(鄭瑄)은 이렇게 말하였다. "얻기를 탐내는 자가 만족을 모르는 것은 모두가 사치를 좋아하는 일념 때문이다. 만일 마음이 편안하고 담담하여 족한 것을 알면, 세상의 재물을 구해서 어디에 쓰겠는가? 청풍명월(淸風明月)은 돈이 드는 것이 아니며, 대울타리 띠집은 돈 쓸 일이 없으며, 책을 읽고 도를 이야기하는 데 돈이 요구되지 않으며, 몸을 깨끗이 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 ​ 제2부 율기(律己) 6조 ​2. 청렴한 마음[淸心] ​ ​ 청렴은 천하의 큰 장사이다. 욕심이 큰 사람은 반드시 청렴하려 한다. 사람이 청렴하지 못한 것은 그 지혜가 짧기 때문이다. ​ 공자는 "인자(仁者)는 인(仁)을 편안히 여기고, 지자(知者)는 인을 이롭게 여긴다"고 말했는데, 나는 "청렴한 자는 청렴함을 편안히 여기고, 지자는 청렴함을 이롭게 여긴다"고 하겠다. 무엇 때문인가? 사람들은 재물을 크게 욕심내지만, 재물보다 더욱 큰 것을 욕심내는 경우에는 재물을 버리고 취하지 않기도 한다. 비록 재물을 얻는 데 뜻을 둔다 하더라도 당연히 청렴한 관리가 되어야 한다. 무엇 때문인가? 늘 보면 지체와 문벌이 화려하고 재주와 덕망이 가득한 사람이 수백 꾸러미의 돈에 빠.. 더보기
소멸 -폴 오스터 시집 ​ 움직임을 몸의 한 기능으로서가 아니라 마음을 확장시키는 것으로 생각하자. 마찬가지로, 발화(發話)를 마음의 확장이 아니라 몸의 한 기능으로 생각하자. 소리(音)는 목소리에서 나와 공기 속으로 진입하여 그 공기를 차지하고 있는 몸을 둘러싸고, 몸에 부딪쳐 되튀며, 몸속으로 진입하기도 한다. 이 소리들은 보이지는 않지만 이것도 하나의 제스처가 된다. 한 손을 다른 손을 향해 공기 속으로 내뻗는 움직임과 같은 제스처다. 그리고 이런 제스처 속에 욕망의 모든 알파벳을 읽을 수가 있다. 몸이 그 자체의 움직임의 영역 속에 있다 하더라도 그 영역 너머로 이끌리고 싶은 욕구를 가졌다는 걸 읽을 수가 있다. 소멸 -폴 오스터 시집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 ​ 제2부 율기(律己) 6조 ​2. 청렴한 마음[淸心] ​ 청렴은 수령의 본래의 직무로 모든 선(善)의 원천이며 모든 덕(德)의 근본이다. 청렴하지 않고서 수령 노릇을 잘할 수 있는 자는 없다. ​ 우리 조선조에 청백리(淸白吏)로 뽑힌 사람이 모두 110명인데, 태조 이후에 45명, 중종 이후에 37명, 인조 이후에 28명이었다. 경종 이후로는 드디어 이렇게 뽑는 것조차 끊어지고, 나라는 더욱 가난해지고 백성은 더욱 곤궁하게 되었으니, 이 어찌 한심하지 않는가! 400여 년 동안에 예복을 입고 조정에서 벼슬한 자가 거의 몇천 명에서 만 명에 이르는데, 그중에서 청백리로 뽑힌 사람이 겨우 이 정도니 사대부의 수치가 아니겠는가? ​ [상산록]에서는 이렇게 말했다. ".. 더보기
나무수업 -페터 볼레벤 저 "너도밤나무 한 그루는 5년에 한 번씩 최소 3만 개의 열매를 생산한다(그사이 기후가 변해 2~3년 만에 한 번씩 생산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또 빛의 양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은 80~150세가 되어야 자손을 볼 나이가 된다. 너도밤나무가 최고 400년까지 산다고 하니 적어도 60회는 열매를 맺을 수 있고, 그럼 총 180만 개 정도의 열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중에서 정확히 한 개의 열매가 어른 나무로 성장하는 것이다. 확률로 따지면 여섯 자리 복권에 당첨될 확률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나무가 될 것이라고 잔뜩 기대했던 다른 모든 씨앗들은 동물에게 잡아먹히거나 균류와 박테리아에 의해 다시 흙이 된다." 나무수업 -페터 볼레벤 저 ​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 ​ 제2부 율기(律己) 6조 ​ 1. 바른 몸가짐 [飭躬] ​ 시(時)나 읊조리고 바둑이나 두면서 정사(政事)를 아전들에게 맡겨두는 것은 큰 잘못이다. ​ 김현성(金玄成)이 여러 번 주군(州郡)을 맡아 다스렸는데, 손을 씻은 듯 깨끗하게 직책에 봉사하여 청렴한 소문이 세상에 드러났다. 그러나 실무에는 익숙하지 못했고 성품이 심히 소탈하고 너그러워 매질하는 것을 일삼지 않았으며, 담담하게 동헌(東軒)에 앉아 종일 시를 읊조렸다. 말하기 좋아하는 자들이 "김현성이 백성을 자식처럼 사랑하지만 온 고을이 원망하여 탄식하고, 티끌만 한 것도 사사로이 범하지 않되 관청 창고는 바닥이 났다"고 하여, 이 말이 한때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당나라의 영호도(令狐綯)가 이원(李遠)을 항주자.. 더보기
김영철, 타일러의 진짜 미국식 영어 2 -김영철,타일러 저 김영철, 타일러의 진짜 미국식 영어 2 -김영철,타일러 저 아침 출근길에 고정된 라디오 채널이 있다. 바로이다. 출근시간에 과 딱 겹친다. 그중 매일 빠지지 않는 코너가 진짜 미국식 영어다. 김영철과 타일러의 재미있는 대화와 진짜 미국식 영어를 만날 수 있었다. 아침의 활력을 얻는 시간이다. 미국식 영어 표현을 들을 때면 '아~' 하고 생각하지만 돌아서면 잊어버린다. 마침 책으로 출간이 되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콩글리시도 많다는 걸 진짜미국식영어를 들으며 알았다. 그때그때 필요한 표현을 찾아서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차례를 잠시 보시면 많은 표현들이 있죠~^^ 내용은 아래 사진처럼 되어 있어요.^^ 방송을 통해 들었던 말투가 떠오르네요. 친절한 설명까지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 제2부 율기(律己) 6조 ​ 1. 바른 몸가짐 [飭躬] ​ 술을 끊고 여색(女色)을 멀리하며 노래와 음악을 물리쳐서 공송하고 단정하고 위엄있기를 큰 제사 받들 듯 할 것이요, 감히 놀고 즐김으로써 거칠고 방탕해져서는 안될 것이다. ​ ​ 송나라의 매지(梅摯)가 소주(韶州)를 맡아 다스릴 때에 벼슬살이의 고질병에 관한 글을 지어 말하였다. 벼슬살이에는 다섯 가지 병통이 있다. 급히 재촉하고 함부로 거두어들여 아랫사람한테 긁어다가 위에 갖다 바치는 것은 조세의 병통이요, 엄한 법조문을 함부로 둘러대어 선악을 명백히 가리지 못하는 것은 형옥(形獄)의 병통이요, 밤낮 술잔치에 빠져 나랏일을 등한히 하는 것은 음식의 병통이요, 백성의 이익을 침해하여 사사로이 자기 주머니를 채..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목민심서 -정약용 제2부 율기(律己) 6조 ​ 1. 바른 몸가짐 [飭躬} ​ 아랫사람을 너그러이 대하면 순종치 않는 백성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공자는 "윗사람이 되어 너그럽지 아니하고 예(禮)를 차리는 데 공경하지 아니하면, 볼 것이 무엇 있겠는가"하였고, 또 "너그러우면 많은 사람을 얻는다"고 하였다. ​ 사람들은 "벼슬살이에는 위세와 사나움을 앞세우는 것이 제일이다"라고 흔히 말하는데, 이는 속된 말이다. 먼저 사나움을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으면 스스로도 좋지 않을 것이다. 죄가 있으면 죄를 주는 것이니, 내가 형벌을 쓰는 것은 각기 그 죄에 합당한 것뿐인데 어찌 위세와 사나움을 앞세울 것인가? [시경]에서 "그대의 위의(威義)를 공경히 하여 '편안하고 착하게[柔嘉]'하라"고 이른 것처럼, 편안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