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입후의 기준)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입후의 기준 答仲氏 입후에 대한 일을 고의(古義)에 기준하여 보면, 학초의 경우는 법으로 보아 마땅히 후사가 없어야 합니다. 형이 죽으면 아우에게 미치는 것이 옳긴 하지만, 고법(古法)에는 지자(支子)에게 후사가 없으면 대가 끊어집니다. ​ 아버지를 이을 종자(宗子)는 형제의 아들 가운데서 데려오고 할아버지를 이을 종자는 종형제의 아들 가운데서 데려오고 증조(曾祖)를 이을 종자는 재종형제의 아들 가운데서 데려오는 것이니, 혈연관계가 있으면 입후하는 것이 예입니다. 이것이 바로 대강령(大綱領)입니다. ​ 아버지가 계신데 큰아들이 후사 없이 죽었다면 후사를 세우지 않는 것이고,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큰아들에게 후사가 없다면 후사를 세워야..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상례에 대하여)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상례에 대하여 答仲氏 성옹(星翁)의 명정(銘旌)에 대한 제도는 너무 소략하고 예법에 맞지 않는 것으로 옛사람의 뜻이 아닙니다. 명정은 마땅히 3척(尺)의 제도(주척 周尺을 사용함-지은이) 를 회복하여 중목(重木)에 꽂는다면 혼백(魂帛)*의 오류도 바로잡을 수 있고, 또한 대단히 해괴한 풍속으로 치부되지도 않을 것입니다. 모르겠습니다만 어떻습니까? ​ 삼우(三虞)가 졸곡(卒哭)이 되는 것*이 이와 같이 정확하니 이또한 의심없이 바로잡아야 합니다. 다만 상관(喪冠)에 승무(繩武)*하는 법과 최의(衰衣)에 연미(燕尾)*하는 제도를 하루아침에 바꾸어 없애버리면 아마 대단히 괴상하다고 할 텐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우리 형제의 자질(子姪)들은 오직..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형제간의 학문 토론)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형제간의 학문 토론 答仲氏 ​ 예서(禮書)에 대한 연구는 지난가을 이래 많은 질병에 시달리느라 초고를 끝마친 것이 극히 적었습니다. 초본(草本) 5편(編)*을 부칩니다만 모두가 절단되고 뒤섞여 문리(文理)가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중에는 또 처음의 견해를 바꾸어 정본으로 삼고서도 초본에는 고치지 않은 것이 있는데 우선 심심풀이로 봐주십시오. 중간의 초본은 이미 집으로 보내어 아이에게 탈고하게 하였으니, 돌아와야만 질문할 날이 있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비록 초본이기는 하지만 그중에 잘못된 해석이 있으면 조목조목 논박해서 가르쳐주시고 의당 절차탁마(切磋琢磨)하여 정밀한 데로 나아가게 해주십시오. 그러다가 더러 갑이다 을이다 서로 우기며 분..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주역]에 대하여)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성인들의 책을 읽고 말씀 올립니다 答仲氏 [주역]에 대하여 [주역]으로 말하더라도 요즘 사람은 하늘을 섬기지 않는데 어찌 감히 점을 칠 수 있겠습니까? 한선자(韓宣子)*가 노(魯)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역상(易象)을 보고서, "주나라의 예(禮)가 노나라에 있구나"라고 하였습니다. [역전(易箋)]*을 자세히 보면, 서주(西周)의 예법 가운데 환히 알 수 있는 것들이 부지기수인데, 지금 점치는 것이라 하여 그 예법마저 고찰하려 하지 않는대서야 되겠습니까? 공자는 점치는 것 외에 별도로 [단전(彖傳)]과 [대상전(大象傳)]*을 지었으니, [주역]이 어찌 점치는 책일 뿐이겠습니까? 옛날에는 봉건제도를 썼으나 지금은 쓰지 않고, 옛날에는 정전..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주례] 에 대하여)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성인들의 책을 읽고 말씀 올립니다 答仲氏 [주례] 에 대하여 [주례(周禮)]는 옛사람 역시 믿지 않은 이가 많았는데 모두 학문이 얕아서였습니다. 비록 왕안석(王安石)*이 믿긴 하였으나 그 이면을 깊이 알지는 못했고 오직 주자만이 알고서 믿었습니다. 그러나 정현의 주(注)는 10에 6,7은 잘못되었는데도 선유들이 모두 정현을 믿었으니 이것이 한스럽습니다. ​ 제가 만약 병 없이 오래 산다면 [주례] 전체에 대한 주를 쓰고 싶은데 아침이슬과 같은 목숨이라 언제 죽을지 알지 못하니 감히 마음을 낼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마음속으로는 삼대(三代)의 다스림을 진정 회복하고자 한다면, 이 [주례]가 아니고는 착수할 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수학은 음악과 상극입니다.)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둘째형님께서는 깊이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答仲氏 수학은 음악과 상극입니다. 보내주신 편지에 1구(矩)* 하고 절반이라는 설은 참으로 확실하고 정미(精米)하여 경전의 본뜻에 적중하니 기뻐서 뛰고 싶은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원서(原書)가 나오면 경(磬)의 조목은 곧장 고치겠습니다. 매우 다행입니다. 차율법(差率法)*에 이르러서는, 이것은 바로 역수가(曆數家)의 차율이기 때문에 법(法)이 아무리 정미하다고 하더라도 악가(樂家)의 차율법과는 서로 전혀 합치되지 않는데, 더구나 셋으로 차등을 두는 영주구(伶州鳩)*에 이르러서는 어떠하겠습니까? 또 지금 이미 영주구의 말은 따르지 않으면서 셋으로 차등을 두는 것은 어떤 근거에서입니까? ..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형과 아우)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둘째형님께서는 깊이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上仲氏 형과 아우 신주(薪洲)에 귀양 와 있던 심생(沈生)이 금년 가을에 죽었습니다. 슬프군요. 선생의 옛날 술벗이 죽었습니다. 바다를 격해 있던 탓으로 옛날 좋아하던 관계를 지속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가 나와 친한 사람을 향하여 "나의 벗 정공(丁公)*이 전에 '나의 아우는 문학(文學)이 나보다 낫다, 그 이마음이 끝없이 큰 것은 제 형보다 못하다'라고 하더니, 그 말이 들어맞구나"라고 했다 하는 데, 이는 저를 원망해서 한 말일 것입니다. 그가 나이 스물에 아내와 이별하였는데 금년 9월에 아내가 내려와서 서로 만나려던 참이었습니다. 그런데 한달을 남겨두고 부음(訃音)이 갔으니 아, 슬픈..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아암이란 중에 대하여)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둘째형님께서는 깊이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上仲氏 아암이란 중에 대하여 대둔사(大芚寺)*에 어떤 승려가 있었는데 나이 마흔에 죽었습니다. 이름은 혜장(惠藏)*, 호는 연파(蓮波), 별호(別號)는 아암(兒菴), 자(字)는 무진(無盡)이라 하는데, 본래 해남의 한미한 사람이었습니다. 27세 병불(秉拂)*이 되자 제자가 백수십명에 이르렀으며, 30세에는 둔사(芚寺)의 대회(大會: 이 대회는 오직 팔도의 대종장 大宗匠이 된 뒤에야 개최하는 것임-지은이)를 주재하였습니다. 을축년(1805)가을에 만덕사(萬德寺)*에 머물렀는데 그때 저와 만났습니다. 서로 만나던 저녁에 곧 [주역]을 논했는데, 그는 하도(河圖) 낙서(洛書)의 학문에 대해 횡설.. 더보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예와 인정)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둘째형님께서는 깊이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上仲氏 예와 인정 ​ 학기(學箕:자는 희열 希說임-지은이)* 가 그의 아들을 집 아이들에게 의탁하여 글을 배우도록 하였는데, 그 아이의 얼굴 모습이 준수하여 형수씨가 보고서 학초(學樵)의 후사로 세우고 싶어했습니다. 무장(武牂)과 문장(文牂) 두 아이들도 큰 욕심이 생겨 그를 끌어다가 당질(堂姪)로 삼고 싶어서 학기와 서로 의논하였더라니, 학기가 말하기를 "현산(玆山)과 다산(茶山)의 뜻이 데려가고 싶으시다면 나는 당연히 바치겠다"고 하였답니다. 두 아이들이 다산으로 편지를 보내왔기에 답하기를 "일로 보아서는 매우 좋으나 예(禮)로 보아서는 매우 어긋난다. 예를 어길 수는 없다"라고 하니,..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소학주천] 과 [아학편])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둘째형님께서는 깊이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上仲氏 [소학주천] 과 [아학편] ​ [소학주천(小學珠串)]*은 어린아이들을 위하여 지었습니다. 사람들의 말을 들으니 선생께서도 이러한 문자(文字)를 편집하셨다 하던데, 한집안에서 따로 두개의 문호(門戶)를 세울 필요는 없습니다. 이쪽 것을 사용하는 것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그 문례(文例)가 비록 쓸데없이 긴 듯하나 어린아이들에게 외우도록 하려면 이와 같이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그 방법은 10단위로 한도를 삼았기 때문에 혹 구차스럽게 채운 것도 있고 피치 못하게 빼놓은 것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세상에서 통용되는 문자란 이렇게 하지 않으면 행해지지 않습니다. 선생께서 지으신 [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