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학문은 반드시 해야 할 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정칠수*에게 당부한다 爲 盤山丁修七贈言 학문은 반드시 해야 할 일 학문은 우리들이 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학문은 제일의 의리(義理)라고 하였으나 나는 이 말에 병통이 있다고 생각한다. 마땅히 유일무이한 것이 의리하고 바로잡아야 한다. 대개 사물마다 법칙이 있는 것인데, 사람들이 배움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그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금수에 가깝다고 하는 것이다. 세상에서 첫째로 선(善)을 막고 도(道)를 어그러지게 하는 화두가 있으니, 바로 "가도학(假道學)은 진사대부(眞士大夫)만 못하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요즘의 이른바 사대부란 곧 옛날의 이른바 군자다(지위로 말하..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수입을 헤아려 지출을 해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證言 수입을 헤아려 지출을 해야 재물을 남에게 주는 것을 혜(惠)라고 한다. 그러나 자기에게 재물이 있고 난 뒤에야 남에게 베풀 수 있는 것이다. 자기에게 없는 것을 남에게 줄 수는 없다. 그러므로 나에게 있는 것을 주기보다는 빼앗지 않는 것이 낫다. 무릇 관고(官庫)에서 훔친 물건은 조상의 제사를 지내거나 부모를 봉양하는 일에도 감히 쓸 수 없는데, 그 나머지 일에 있어서랴? ​ 수입을 헤아려 지출을 하는 것이 성인의 법이다. 무릇 훔친 것을 갚지 못하여 아전이 뒷말을 하게 되는 자는 비록 백성을 사랑하여 다스림이 저 공수(龏遂) 황패(黃覇)와 같다고 해도 오히려 잘 다스리는 관리는 아..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관직에 있는 사람의 어려움)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證言 관직에 있는 사람의 어려움 수령과 백성의 사이는 멀고 머니, 애닮도다 백성들이여! 아전이 신체를 부러뜨렸어도 수령이 불러 물으면 대답하기를 "나무 하다가 절벽에서 떨어졌습니다"라고 한다. 아전에게 재물을 빼앗겨도 수령이 불러 물으면 말하기를 "빚이 있어 마땅히 갚아야 하는 것입니다."라고 한다. 일에 밝은 자가 있어 자세히 검토하여 그 재물을 되돌려주되 바로 면전에서 셈하여 주고 직접 거느리고 간 비장으로 하여금 호송하게 해도, 한번 문을 나서면 진흙으로 만든 소가 바다에 가라앉는 것과 같다. 내가 관장들을 보건대, 산에서 노닐다 절에 도착하여 어쩌다 돈과 양식을 계산해준 것을 가지..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아전은 어떻게 거느릴 것인가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證言 아전은 어떻게 거느릴 것인가 아전들은 그 직업을 세습하고 또 종신토록 한가지 직업에다 한가지 뜻을 정일(精一)히하기 때문에, 그 일에 길이 들고 익숙해서 가만 앉아서 관장(官長)거치기를 마치 여관 주인이 길손 대하듯 한다. 수령이 된 자는 어려서 글짓기와 활쏘기를 익히고 한담(閑談)과 잡희(雜戱)를 일삼다가 하루아침에 부절(符節)을 차고 일산(日傘)을 펴고서 부임하니, 이는 우연히 들른 나그네와 같다. 저들이 허리를 굽히고 숨가쁘게 뛰어다니면서 공손히 대하니, 그들의 속을 모르는 자는 고개를 쳐들고 잘난 체하여 그들을 벌레 보듯 내려다보지만, 어깨를 맞대고 땅에 엎드린 그들이 낮은 .. 더보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형벌의 세가지 등급)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證言 형벌의 세가지 등급 관직에 있으면서 형벌을 쓰는 데는 마땅히 세가지 등급이 있어야 한다. 대체로 민사(民事)에는 상형(上刑)을 쓰고 공사(公事)에는 중형(中形)을 쓰고 관사(官事)에는 하형(下形)을 쓰되, 사사로운 일에는 형벌이 없어야 한다. 무엇을 민사라고 하는가. 대체로 아전과 향임이 죄과(罪科)를 저지르는 것은 백성을 수탈하거나 해치는 것에서 연유되니, 힘없는 백성을 속이고 침학하는 자는 마땅히 무겁게 매를 때려야 한다. 무엇을 공사라고 하는가. 대체로 공납을 바치는 기한을 어기거나 조정과 상사의 명령을 받들어 시행함에 있어 삼가지 않는 자는 마땅히 그 다음 형률을 적용해야 한..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봉록과 지위를 다 떨어진 신발처럼 여겨라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證言 봉록과 지위를 다 떨어진 신발처럼 여겨라 ​ 상관이 엄한 말로 나를 위협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내가 이 봉록과 지위를 보전하고자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간리(奸吏)가 비방을 조작하여 나를 겁주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내가 이 봉록과 지위를 보전하고자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당시의 재상이 부탁을 하여 나를 더럽히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내가 이 봉록과 지위를 보전하고자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무릇 봉록과 지위를 다 떨어진 신발처럼 여기지 않는 자는 하루도 수령의 지위에 앉아 있으면 안된다. 흉년에 백성들의 조세를 면제해줄 것을 요구하다가 상관이 들어주지 않으면 벼슬을 버리고 떠..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고을을 다스리는 방법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贈言 고을을 다스리는 방법 옛날에 소현령(蕭縣令)이 부구옹(浮丘翁)* 에게 고을 다스리는 방법을 물으니, 부구옹이 이르기를 "나에게 여섯자의 비결이 있는데, 그대는 사흘 동안 목욕재계를 해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소현령이 그 말을 따라 사흘 동안 목욕재개하고 다시 청하니 옹이 먼저 한 글자를 가르쳐주는데, '염(廉)'자였다. 소현령이 일어나 두번 절하고 얼마 있다가 다시 한 글자를 청하니 부구옹이 또 한 글자를 주었는데, '염'자였다. 소현령이 일어나 두번 절하고 다시 가르쳐주기를 청하니 부구옹이 마지막으로 한 글자를 가르쳐주었는데, '염'자였다. 소현령이 두번 절하.. 더보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과문을 익히거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다산의 학생들에게 당부한다 爲茶山睹生證言 과문을 익히거라 글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과문(科文)이 가장 어렵고, 이문(吏文)은 그 다음이고, 고문(古文)은 그중에서도 쉬운 편이다. 그러나 고문에서부터 길을 찾아들어가는 자는 이문이나 과문에 대해 다시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쉽게 통달할 수 있지만, 과문에서부터 들어가는 사람은 벼슬하여 관리가 되어도 판첩(判牒)을 쓰는 데 모두 남의 손을 빌려야 하고 서(序) 기(記) 비(碑) 명(銘)등을 지어달라고 요구하는 사람이 있으면 몇 글자 쓰지도 못하고 벌써 비루함과 졸렬함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이로써 본다면, 사실 과문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짓는 데 있어 그 방법을 잃었기 때문에..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현실과 대결하면서 살아가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다산의 학생들에게 당부한다 爲茶山睹生贈言 현실과 대결하면서 살아가라 노(魯)나라의 공자와 추(鄒)나라의 맹자께서는 위란(危亂)의 세상을 당하여서도 오히려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벼슬하기에 급급하였으니, 이는 진실로 입신양명이 효도의 극치이고 새나 짐승과는 함께 무리지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요즘 세상에서 벼슬에 나아가는 길이란 과거 하나만이 있을 뿐이다. 그런 까닭에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퇴계(退溪) 이황(李滉) 등 여러 선생들께서도 모두 과거를 통하여 벼슬에 나갔으니 그 길을 통하지 않고는 끝내 임금을 섬길 방도가 없음을 알겠다. 근세에 고가(故家)의 후예로서 먼 지방으로 영락되어와서 사는 사람들은 영달할 뜻은 없이..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근검과 절약)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윤종문*에게 당부한다 근검과 절약 [안씨가훈(顔氏家訓)]*에 "일용에 필요한 온갖 채소 과일 닭고기 돼지고기 등은 모두 집안에서 자급할 수 있으나 소금만 생산할 수 없을 뿐이다." 하였으니, 아주 좋은 말이다. 손쉽게 상자 속의 돈을 꺼내어 저자로 달려가는 사람은 죽을 때까지 집안을 일으킬 수 없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선생은 어린시절에 매우 가난하였다. 가을 수확이 겨우 12석(石)이었는데 이를 열두달에 분배해놓고 열흘 뒤에 식량이 떨어지면 즉시 다른 물건을 변통하여 팔아서 곡식을 얻어다가 죽을 끓이도록 마련해두고 새달 초하루가 되어야 비로소 곳집 속의 곡식을 꺼내다 먹게 하였다. 중년에는 24석을 거두어 달마다 2석을 사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