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필사를 마치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필사를 마쳤다. 2019.5/9~2019.10/21 5개월 12일이 걸렸다. ​ 다산의 가르침을 조금 더 새겨듣기 위해 시도한 필사였다. 손으로 써 내려가면 더욱 좋겠지만 만만치 않은 한자와 시간이 걸림돌이었다. 타이핑으로 한 필사였지만 눈으로 읽을 때와는 다른 감동으로 다가 왔다. 도중에 오타를 발견하고 등줄기에 식은땀이 흐르고 얼굴이 화끈거리는 날도 있었지만 나름의 최선을 다해 성실하게 필사했다. 다산의 가르침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것이었다. 다산의 열정과 애환과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도 느낄 수가 있는 시간이었다. ​ 아들에게 보낸 편지, 두 아들에게 주는 가훈, 둘째 형님께 보낸 편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이 담겨있다. 이 속에서 다양한 가르침을 만났다. 두 아들에게 보낸..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 문장을 이루는 법)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변지의라는 젊은이에게 당부한다 爲暘德人邊知意贈言 ​ 문장을 이루는 법 변지의(邊知意)군이 천리의 먼 곳에서 나를 찾아왔다. 그의 뜻이 어디에 있는가를 물었더니 문장(文章)에 있다고 하였다. 그날 집 아이 학유(學游)가 나무를 심었다. 심어놓은 나무를 가리키면서 비유하여 설명해주었다. 사람에게 있어서 문장은 풀이나 나무로 보면 아름다운 꽃과 같다. 나무를 심는 사람은 나무를 심을 때 그 뿌리를 북돋아주어 나무의 줄기가 안정되게만 해줄 뿐이다. 그렇게 하고 나면 나무에 진액이 오르고 가지와 입사귀가 돋아나면 그때에야 꽃도 피어난다. 꽃을 급히 피어나게 할 수는 없다. 정성스러운 뜻과 바른 마음으로 그 뿌리를 북돋아주고, 독실하게 행하..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몸의 굶주림보다 기의 굶주림을 조심해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기어자흥*에게 당부한다 爲騎魚慈弘贈言 몸의 굶주림보다 기의 굶주림을 조심해야 ​ 나는 뜻이 큰 선비는 도(道)를 걱정해야지 가난을 걱정해서는 안된다고 들었네. 대체(大體)를 기르는 것을 도라고 말하고, 소체(小體)도 기르지 못하는 것을 가난이라고 말하네. 맹자는 자신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잘 기른다고 하면서, 여기서의 기(氣)란 의(義)와 도를 배합한 것이니 이것이 없으면 정신이 굶주린 상태가 되어버린다고 하였네. 이런 기의 굶주림은 몸의 굶주림보다 더 근심할 일이네. 이러한 이유로 도에 대한 근심을 지녀야지, 가난에만 근심을 두어서는 안되네. 어떤 사람의 예를 들어보세. 그가 일생 동안 아름다운 옷에 맛있는 음식을 먹고 거대한.. 더보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문장이란 어떤 물건인가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이인영에게 당부한다 爲李仁榮贈言 문장이란 어떤 물건인가 내가 한강(漢江)가 마현(馬峴)에 살 때였다. 하루는 잘생기고 예쁘장한 소년이 찾아왔는데 등에 짐을 지고 있기에 보니 책상자였다. 누구냐고 물으니 "저는 이인영(李仁榮)입니다"라고 하였다(몇 구절 삭제하였다-지은이). 나이를 물으니 열아홉이라고 했다. 그의 뜻을 물으니, 뜻은 문장에 있는데 비록 공명(功名)에 불리하여 종신토록 불우하게 살게 될지라도 후회없을 것이라 하였다. 그 책상자를 쏟으니, 모두 시인 재자(才子)의 기이하고 청신한 작품들이었다. 혹은 파리 머리처럼 가늘게 쓴 글도 있고 혹은 모기 속눈썹같이 미세한 말도 있었다. 그의 뱃속에 들어 있는 지식을 기울여 쏟으니..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덧없는 일에 마음을 두지 말아야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의순에게 당부한다 爲草衣憎意洵證言 덧없는 일에 마음을 두지 말아야 ​ 천책선사(天頙禪師)* 가 "혹 시전(市廛)을 지나다가 좌상이나 행상을 보면 다만 조그만 엽전을 가지고 시끌시끌 떠들면서 시장의 이끗을 독점하려고 다툰다. 이는 수많은 모기가 항아리 속에서 어지러이 앵앵거리는 것과 다르겠는가" 라고 하였는데, 마침 그가 빠져든 것이 선(禪)이라서 그렇지 말인즉 옳다.​ ​ 천책선사가 말했다. "부잣집 아이가 평생 한 글자도 읽지 않고 오로지 교만한 자세로 유협(遊俠)만을 일삼아, 월장(月杖)과 성구(星毬)에 금안장 옥굴레로 삼삼오오 짝을 지어 주야로 큰 거리를 배회하면서 휘젖고 다니는데, 이를 구경하는 자들이 담처럼 늘어서 있으..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역경] 의 풀이법)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의순에게 당부한다 爲草衣憎意洵證言 [역경] 의 풀이법 [역경]의 글은 한 글자 한 구절이라도 괘상(卦象)에 말미암지 않는 것이 없다. 만약 성인이 가공적으로 설법하기를, 마치 선가(禪家)에서 참선(參禪)의 화두(話頭)가 한 사물에만 전적으로 집중하는 것과 같다고 한다면 스스로 통하기 어렵다. 왕필(王弼)이 설괘(說卦)를 버리고 [역경]을 풀이하려 하였으니 또한 어리석지 아니한가? ​ ​ ​#유배지에서보낸편지 #정약용 #유배지에서보낸편지필사 #책소개 #책추천 #독서 #책읽기 #주부독서연구소 #다산정약용 #다산 #두아들 #두아들에게보낸편지 #두아들에게주는가훈 #둘째형님께보낸편지 #제자들에게당부하는말 #영암군수이종영에게당부한다 #정수칠에게당부..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썩은 땅에서 맑은 샘물 나오랴)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의순*에게 당부한다 爲草衣憎意洵證言 썩은 땅에서 맑은 샘물 나오랴 도잠(陶潛)*의 [감피백하시(感彼柏下詩]를 보면 평소 혜원(慧遠)*의 현론(玄論)을 얻어들었음을 알겠으며, 소식(蔬軾)*의 [적벽부(赤壁賦]를 보면 당시 늘 참료자(參蓼子) 도잠(道濳)*과 아화(雅話)한 것을 징험할 수 있다. 매양 봄바람이 불어 초목이 싹트고 범나비가 홀연히 꽃다운 풀에 가득 모여들 때면, 법승(法僧) 몇사람과 함께 술을 가지고 옛 무덤 사이를 노닐면서 무덤이 연달아 총총히 있는 것을 보고는 술 한잔 따라붓고 나서 말하였다. "무덤에 묻힌 사람이여, 이 술을 마셨는가? 그대, 옛날 세상에 있을 때 조그만 이익을 다투고 시시각각으로 재물을 모으느라 ..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재물이란 허망한 것)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윤종심에게 당부한다 爲尹鍾心贈言 재물이란 허망한 것 지금 내 나이가 적지 않으니 겪어본 일도 많다. 재산이 있어 자손으로 하여금 부를 누리게 한 자는 천이나 백 가운데 한두 사람뿐이다. 형제의 자식을 취하여 그 재산을 불려준 자도 운이 좋은 사람이다. 간신히 소목(昭穆)을 따져 몸을 굽신거리거나 거적자리를 깔고 애걸하여 양자를 맞아 그 재산을 먼 친척에게 주는 자들이 있다. 그런데 평일의 소행은 저녁밥 한끼도 아끼는 자들이 거의 다 그렇다. 그렇지 않으면 못난 아들을 낳아서 애지중지하며 꾸짖지고 않고 매를 때리지도 않는다. 그가 자라서는 마음 속으로 부모가 늙기를 바란다. 3년상이 겨우 끝나면 도박과 노름 등 몸에 삼충(三蟲)*의..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가난을 걱정하지 말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윤종심*에게 당부한다 爲尹鍾心贈言 가난을 걱정하지 말라 ​ 세상 여러가지 사물은 대개 변화하는 것이 많다. 풀과 나무 가운데 작약(芍藥)은 바야흐로 그 꽃이 활짝 핀 시기에는 어찌 아름답고 좋지 않으리요마는, 말라 시들어버리면 정말로 환물(幻物)일 뿐이다. 비록 소나무와 잣나무가 오래 산다고는 해도 수백년을 넘기지는 못하고, 쪼개져서 불에 타지 않으면 또한 바람에 꺾이고 좀이 먹어 없어지게 된다. 사물이 그러하다는 것을 사리에 통달한 선비는 알고 있다. 그러나 유독 논과 밭의 변환(變幻)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사람이 드물다. 세속에서는 밭을 사고 집을 마련하는 자를 가리켜 순박하고 진실하며 든든하다고 한다. 사람들은 논과 밭이라는 것이 ..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무엇을 배우고 익힐 것인가)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정수칠에게 당부한다 爲 盤山丁修七贈言 무엇을 배우고 익힐 것인가 옛날에 교(敎:[중용(中庸)]에서 말한 것-지은이)니 학(學:[예기] [학기(學期)]에서 말한것-지은이)이니 하던 것은 유교 외에 다른 도(道)가 없었으므로 달리 표제를 더할 필요가 없었다. 송나라 이래로 이학(理學)이라 이름하여 이(理)자를 하나 더하였으나 위엄과 무게가 없다. 그러니 세속사람들이 모두들 이학이라 지적하니 그대로 부르는 것이 좋겠다. ​ 공자의 도는 효제(孝悌)일 뿐이다. 이것으로 덕을 이루는 것을 일러 인(仁)이라고 하며, 헤아려 인을 구하는 것을 일러 서(恕)라고 한다. 공자의 도는 이와 같을 뿐이다. 효에 바탕을 두면 임금을 섬길 수 있고, 효를 미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