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민심서필사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 제5부 이전(吏典) 6조 ​ 1. 아전 단속[束吏] 예(禮)로부터 바로잡고 은혜로 대한 뒤에라야 법으로 단속할 수 있다. 만약 능멸하여 짓밟고 함부로 부리며 이랬다저랬다 속임수로 몰아가면 단속 받으려 하지 않을 것이다. ​ ​ 초하루와 보름의 점고(點考) 이외에 불시에 점고하는 것은 예가 아니다. 세속에 이르기를, 아전들이 향촌에 나가 백성들을 침학하기 때문에 불시에 점고하여 그들이 향촌에 맘대로 드나들지 못하게 한다고 한다. 그러나 아전들 자신이 직접 나가지 않고 그 자제(子第)들을 보내고도 족히 백성들을 침학할 수 있으니 이를 어찌 막을 수 있겠는가? 밤중에 불을 밝히고 장가(張哥)를 부르고 이가(李哥)를 부르면 명령이 갈팡질팡하여 도리어 위엄을 손상하기 마련이다. 무릇 현재에 직임을 띤 자는.. 더보기
목민심서[5부] 이전(吏典) 6조-1. 아전 단속[束吏]​ ​ 제5부 이전(吏典) 6조 ​ 1. 아전 단속[束吏] ​ 아전을 단속하는 일은 근본은 스스로를 규율함에 있다. 자신의 몸가짐이 바르면 명령하지 않아도 일이 행해질 것이고, 자신의 몸가짐이 바르지 못하면 명령을 하더라도 일이 행해지지 않을 것이다. ​ 백성은 토지로 논밭을 삼지만, 아전들은 백성을 논밭으로 삼는다. 백성의 껍질을 벗기고 골수를 긁어내는 것을 농사짓는 일로 여기고, 머릿수를 모으고 마구 거두어들이는 것을 수확으로 삼는다. 이것이 습성이 되어 당연한 짓으로 여기게 되었으니, 아전을 단속하지 않고서 백성을 다스릴 수 있는 자는 없다. 그러나 자신에게 허물이 없어야 비로소 다른 사람을 나무랄 수가 있음은 천하의 이치이니, 수령의 소행이 다른 사람을 진실로 감복시키지 못하면서 오직 아전만 단속한다..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제4부 애민(愛民) 6조 ​ ​ 6. 재난을 구함[救災] ​ ​ 재해(災害) 뒤에는 백성들을 쓰다듬고 편안히 모여 살게 해야 하니, 이 또한 수령의 어진 정사이다. ​ 옛날에 김희채(金熙采)가 장련현(長連縣)을 맡았을 때 큰물이 나서 구월산이 무너져 매몰된 곳이 30리나 되고, 사람이 죽고 농사를 망친 곳이 이루 헤아릴 수가 없었다. 그가 시찰하자 백성들이 맞이하여 통곡하였고, 그는 말에서 내려 백성들의 손을 잡고 같이 통곡하였다. 백성들이 감동하고 기뻐하며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하였다. 백성들이 울음을 멈추자 김희채는 원하는 바를 묻고 곧바로 산에서 내려와 순영(巡營)으로 달려갔다. 그러고는 백성이 원하는 바를 모두 중앙에 보고하기를 요구하며 하루 종일 다투니, 감사가 괴롭게 여기며 "그는 인자하나..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제4부 애민(愛民) 6조 ​ ​ 6. 재난을 구함[救災] ​ ​ 둑을 쌓고 방죽을 만들어 수재를 막고 수리를 일으키는 것은 두 가지 이익이 있다. ​ 내 집이 한강가에 있어서 해마다 여름과 가을에 큰물이 들 때마다 집들이 떠내려오는 것을 보는데,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얼음과 같았다. 닭이 지붕 위에서 울기도 하고, 혹은 옷들이 문얼굴에 걸려 있기도 하였다. 올해에도 이와 같았고 내년에도 또다시 그러할 것이니, 이는 모두 수령들이 백성들을 안착시키지 못한 허물 때문이다. 무릇 현읍(縣邑)이 큰 강물가에 있는 경우 수령은 의당 마을들을 순행하여 표몰(漂沒)할 염려가 있는 마을은 높은 곳으로 옮기도록 엄히 명령하고, 큰 산기슭에 있는 마을은 마을 뒤에 따로 긴 둑을 쌓아 폭우와 급류를 막아야 할 것이니, 이..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제4부 애민(愛民) 6조 ​ ​ 6. 재난을 구함[救災] ​ 환난(患難)이 있을 것을 생각해서 예방하는 것이 재앙을 당한 후 은혜를 베푸는 것보다 낫다. ​ 불을 끄려다 머리를 그슬리고 얼굴을 데는 수고는 미리 굴뚝을 돌리고 땔감을 불 가까이에서 치워버리는 것만 못하다. 마을의 민가가 지대가 낮고 물에 가까우면 마땅히 평상시에 옮기도록 해야 한다. 이미 큰 마을을 이루어 옮기기 어려우면 마땅히 여름에 배를 준비해둔다. 또 큰 마을에는 웅덩이를 파서 물을 저장하게 하거나 혹은 독을 두어 물을 저장하도록 타일러야 한다. 또 불을 끄는 방법은 짚자리나 거적을 물에 적셔 덮는 것이다. 만약 지붕을 치켜보고 물을 끼얹는다면 헛수고요 아무 보람도 없을 것이다. 평양과 전주처럼 교통이 좋은 읍(邑)이나 큰 도시는 마.. 더보기
목민심서[4부] 애민(愛民) 6조-6. 재난을 구함[救災] 제4부 애민(愛民) 6조 6. 재난을 구함[救災] 무릇 재해와 액운이 있으면 불탄 것을 구하고 빠진 것을 건지기를 내 것이 불타고 빠진 것처럼 조금고 늦추지 말아야 한다. ​ 송나라의 소식(蘇軾)이 밀주(密州)에서 서주(徐州)로 옮겼는데, 그때에 강물이 성 밑으로 밀려들어 부유한 백성들이 다투어 나와 물을 피하였다. 소식이 "내가 여기에 있는 한 성이 무너지게는 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그들을 몰아 다시 성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몸소 지팡이를 짚고 무위영(武衛營) 종장을 불러 "비록 금병(禁兵)이라 하더라도 나를 위하여 진력하도록 하라"고 말하였다. 졸장이 "태수께서 진구렁을 피하지 않으시는데, 우리들이 어찌 목숨을 바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하고, 곧 그 무리를 통솔하여 짧은 옷과 맨발에 삼태기와 삽..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제4부 애민(愛民) 6조 ​ ​ 5. 병자를 돌봄[寬疾] ​ 유행병이 돌면 사망자가 아주 많이 생긴다. 구호하고 치료하며, 매장해 주는 사람에게는 마땅히 포상하도록 조정에 청해야 한다. ​ 가경 무오년 겨울에 독감이 갑자기 기승을 부려 죽은 자가 셀 수 없이 많았다. 조정에서 부유한 자들로 하여금 구호. 치료. 매장하게 하고, 그들에게 3품과 2품의 품계(品階)를 내린다고 하였다. 내가 곡산부(谷山府)에서 이런 임금의 말씀을 널리 알리자 이에 응한 자가 5명이었다. 일을 마친 다음 자세히 보고하니, 상사는 "다른 고을에서는 받들어 행한 자가 없으니 한 고을 백성들만 임금께 아뢸 수 없다"라고 말하며 조정에 보고하지 않았다. 나는 즉시 승정원에 보고를 띄워 아뢰었다. "이다음부터는 임금의 성스러운 지시를 ..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제4부 애민(愛民) 6조 ​ 5. 병자를 돌봄[寬疾] ​ 곱사등이나 불치 병자들이 혼자 힘으로 살아갈 수 없는 경우에는 의탁할 곳을 마련해주고 도와줘야 한다. ​ 장님.절름발이.손발병신.나환자들은 사람들이 천하게 여기고 싫어한다. 관은 육친이 없고 안주할 곳이 없어 떠돌아다니는 이들을 보호하고, 그 종족들을 타일러 이들이 안주할 곳을 마련해주도록 해야 한다. 친척이 하나도 없어서 어디 의지할 곳이 전혀 없는 자는 고향 마을의 유덕한 이를 골라 보호하게 하고 대신 잡역을 덜어 그 비용을 대신케 해준다. ​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제4부​ 애민(愛民) 6조​ 4. 상을 당한 자를 도움[哀喪] ​ ​ 좌수와 아전, 국교가 상을 당했거나 죽었거나 했을 때는 부의를 보내고 조문하여 은정(恩情)을 보여야 한다. ​ ​ 옛날에 조정의 신하가 상을 당하면 왕이 반드시 몸소 조문하여, 그의 염하는 것을 지켜보았으며, 수의(壽衣)와 예물을 보내주었다. 이로 미루어 수령 역시 관속들을 위해서 마땅히 그와 같은 은정을 보내야 한다. 무릇 아전과 군교가 죽거나 혹은 그 부모의 상을 만났을 때는 마땅히 종이와 초(燭)를 부의하고, 미음과 죽을 권하여 마시게 한다. 좌우에 있던 향관(鄕官)이 죽거나 상을 당해도 이같이 해야 한다. 그들이 장례를 치를 때에는 예리(禮吏)를 보내 한 잔의 술과 두 접시의 안주로 치전(致奠) 하는 것도 해야 한다. 향교의 임..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제4부​ 애민(愛民) 6조​ 4. 상을 당한 자를 도움[哀喪] ​ 혹시 비참한 일이 눈에 띄어 측은한 마음을 견딜 수 없거든 주저하지 말고 즉시 구휼을 베푸는 게 마땅하다. ​ ​ 범문정공(范文正公)이 빈주(邠州)의 태수가 되었는데, 한가한 날 부하들을 거느리고 누각에 올라 술자리를 베풀었다. 아직 술잔을 들지 않았을 때 상복을 입은 몇 사람이 장례 때 쓰는 제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가 급히 불러 사연을 물어보니, 한 선비가 죽어 근교에 임시로 매장하려 하는데 부의(賻儀).염(殮).관(棺).곽(槨)등 초상 치를 준비를 전혀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 범문정공은 곧바로 술자리를 거두고 부의를 후히 주어 장례를 무사히 치르게 하니, 사람들이 모두 감탄하였고 그중에는 눈물을 흘리는 사람도 있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