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12편] [논어 제12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연이 인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 자기를 이겨내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 인이다. 하루만이라도 자기를 이겨내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에 귀의할 것이다.' 안연이 여쭈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을 여쭙고자 합니다.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아라.' 안연이 말하였다. '제가 비록 총명하지는 못하오나, 이 말씀을 명심하고 실천하겠습니다.' 중궁이 인에 대해 여쭙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집 문을 나가서는 큰 손님을 대하듯이 하고, 백성을 부릴때에는 큰 제사를 받드는 듯이 하며,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은 남에게 하지 말아야 한다. 이렇게 하면 나라에..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 11편] 이어서 [논어 제 11편] 이어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자로: 좋은말을 들으면 곧 실천해야 합니까? 공자: 부형이 계시는데 어찌 듣는 대로 곧 행하겠느냐? 염유: 좋은말을 들으면 곧 실천해야 합니까? 공자: 들으면 곧 행해야 한다. 공서화: 유(자로)가 들으면 곧 실천해야 합니까? 라고 여쭈었을 때는 선생님께서 '부형이 계신다'라고 하셨는데, 구(염유)가 '들으면 곧 실천해야 합니까' 하고 여쭈었을 때는 '들으면 곧 행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의아하여 감히 여쭙고자 합니다. 공자: '구(염유)는 소극적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한 것이고, 유(자로)는 남을 이기려하기 때문에 물러서도록 한 것이다. 내가 너희들보다 나이가 조금 많기는 하지만, 그런 것을 의식하지 말로 얘기해 보아라. 평소 말하기를 ..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 11편]이어서 [논어 제 11편]이어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노나라 사람이 장부(長府)라는 창고를 다시 만들자 민자건이 말하였다. 옛 것을 그대로 쓰면 어떤가? 왜 꼭 다시 지어야만 하는가? 이를 듣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 사람은 말을 잘 안 하지만, 말을 하면 반드시 이치에 맞는다.' 유(자로)의 거문고를 어찌 내 집안에서 연주 할 수가 있겠느냐? 이를 듣고 문인들이 자로를 공경하지 않았다. 이를 듣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는 대청마루에는 올라섰으나, 다만 아직 방안에 못들어온 것이다.' '자공이 여쭈었다. '사(자장)와 상(자하)은 누가 더 현명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는 지나치고 상은 부족하지' '그러면 사가 낫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마찬가지이네.' 회(안연)..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11편] [논어 제 11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 사람들은 예(禮)와 음악에 있어서 야인처럼 질박했으나, 후대의 사람들은 예와 음악에 있어서 군자처럼 형식미를 갖추고 있다. 만일 내가 마음대로 택하여 쓸 수 있다면 나는 옛 사람들을 따르겠다. 진나라와 채나라에서 고생할 때 나를 따르던 사람들이 모두 나의 문하에 없구나. 덕행(德行)으로 모범이 된 사람으로는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 있었고, 언변이 뛰어나기로는 재아, 자공이 있었고, 정치에 능하기로는 염유, 계로가 있었고, 문장과 학문으로는 자유, 자공이 있었다. 안회는 나를 도와주는 사람*이 아니다. 그는 내가 하는 말에 대해 기뻐하지 않는 것이 없구나.*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공자가 도리를 탐구하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말한다. *공자의 말..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 10편]이어서 [논어 제 10편] 이어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굿간에 불이 났었는데, 공자께서 퇴근하시어 "사람이 다쳤느냐?" 라고 물으시고는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으셨다. 임금이 음식을 내려주시면 반드시 자리를 바로 하고서 먼저 맛을 보셨다. 임금이 날고기를 내려주시면 반드시 익혀서 조상께 올리셨다. 임금이 산 짐승을 내려 주시면 반드시 그것을 기르셨다. 임금을 모시고 식사할 때는, 임금이 고수레를 올리시면 먼저 맛을 보셨다. 병이 들었을때 임금이 문병을 오시면, 머리를 동쪽으로 두시고, 누워 조복을 몸에 덮고 그 위에 띠를 펼쳐 놓으셨다. 임금이 명을 내려 부르시면 수레 준비를 기다리지 않고 걸어서 가셨다. 벗이 죽었는데 돌보아 줄 사람이 없자, "내 집에 빈소를 차리자"라고 하셨다. 벗이 주는 것은 비록 수레나..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10 편] 이어서 [논어 제 10 편] 이어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께서는 짙은 보라색과 주홍색으로 옷깃을 달지 않으셨고, 붉은색과 자주색으로 평상복을 만들지 않으셨다. 더운 계절에는 홑옷으로 된 고운 갈포옷이나 굵은 갈포옷을 입으시되, 반드시 안에 옷을 받치시고 그 위에 입으신 후 외출하셨다. 검은 옷에는 검은 양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으시고, 흰 옷에는 새끼 사슴의 털가죽으로 만든 흰 옷을 입으셨으며, 누런 옷에는 여우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으셨다. 평상시에는 입는 갖옷은 길게 하되, 행동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오른쪽 소매는 짧게 하셨다. 반드시 잠자리옷이 있으셨는데, 길이는 키의 한 배 반이었다. 여우와 담비의 두터운 털가죽을 두툼하게 깔고 지내셨다. 탈상한 뒤에는 폐옥을 가리지 않고 차셨다. 조복(朝服)..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10편] [논어 제10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자께서 마을에 계실때에는 겸손하고 과묵하여 말을 못하는 사람같으셨다. 그러나 종묘와 조정에 계실 때에는 분명하게 주장을 펴시되 다만 신중하게 하셨다. 조정에서 하대부와 말씀하실 때에는 강직하셨고, 상대부와 말씀하실 때에는 부드럽게 어울리시면서 주장을 분명히 하셨으며, 임금이 계실 때에는 공경스러우면서도 절도에 맞게 위엄을 갖추셨다. 임금이 불러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게 하면, 얼굴빛을 바로잡으시고 공경스럽게 옮기셨다. 함께 서 있는 사람에게 인사를 하실 때는 마주잡은 두 손을 좌우로 돌리며 좌우의 사람들에게 읍을 하였는데, 읍을 하실때마다 옷이 앞뒤로 가지런히 움직이셨다. 빠른걸음으로 나아가실 때에는, 손의 움직임이 새가 날개를 편듯 단정하셨다. 손님이 물러간 후에..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논어 제9편] 이어서 [논어 제9편] 이어서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일러 주면 게을리 하지 않는 사람이 바로 안회로다. 싹은 솟았어도 꽃을 피우지 못하는 것이 있구나! 꽃은 피어도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이 있구나. 후배들이란 두려운 것이니 그들이 지금의 우리만 못하리란 것을 어찌 알 수 있겠는가? 사십, 오십이 되어서도 이름이 알려지지 않는다면, 그 또한 두려워 할 만한 사람이 못된다. 올바른 말로 일러주는 것을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실제로 잘못을 고치는 것이다. 은근하게 타이르는 말에 기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참뜻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다. 성심과 신의를 지키며, 자기만 못한 사람을 벗삼지 말고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주저하지 말아라. 대군의 장수를 빼앗을 수는 있어도, 한 ..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 9편] [논어 제 9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삼베로 만든 관을 쓰는 것이 예법에 맞지만, 지금은 명주로 만든 것을 쓴다. 이것이 검소하므로 나는 여러 사람들이 하는 것을 따르겠다. 마루 아래에서 절하는 것이 예법에 맞지만, 지금은 마루 위에서 절을 한다. 이것은 교만한 것이므로, 비록 여러 사람들과 다르더라도 나는 마루 아래서 절하겠다. 공자께서는 네 가지를 절대로 하지 않으셨다. 사사로운 뜻을 갖는 일이 없으셨고, 기필코 해야 한다는 일이 없으셨으며, 무리하게 고집부리는 일도 없으셨고, 자신만을 내세우려는 일도 없으셨다. 내가 아는 것이 있는가? 나는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어떤 비천한 사람이 나에게 질문을 한다면, 아무리 어리석더라도 나는 내가 아는 것을 다하여 알려 줄 것이다. 공자께서는 상복을 입은 .. 더보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논어 제 8편] [논어 제 8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수고롭기만 하고, 신중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두려움을 갖게 되고, 용감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질서를 어지럽히게 되고, 정직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박절하게 된다. 군자가 친척들을 잘 돌봐주면 백성들 사이에서는 인(仁)한 기풍이 일어나며,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각박해지지 않는다. 시를 통해 순수한 감성을 불러 일으키고, 예의를 통해 도리에 맞게 살아갈 수 있게 되며, 음악을 통해 인격을 완성한다. 백성은 도리에 따르게 할 수는 있지만, 도리를 이해하게 할 수는 없다. 용맹을 좋아하면서 가난을 싫어하면 사회질서를 어지럽히게 되고, 사람으로서 인(仁)하지 못한 것을 지나치게 미워해도 사회질서를 어지럽히게 된다. 만약 주공처럼 훌륭한 재능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