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초토화 작전술[火攻]
12. 초토화 작전술 [火攻篇]
-마지막까지 싸움의 결과를 생각하라
[화공](火攻)은 [화](火) 또는 [화진](火陳)이라고도 부른다.
이 편은 고대의 전투에서 무척 중요시했던 불로 하는 공격을 다섯 가지 종류로 나누고, 그 실시 방법과 필수 조건을 말하고 있다.
손무 이전에는 어떠한 형태이든 전쟁에 화공을 이용한 사례가 많았으므로, 그의 화공법도 이론적 체계 외에는 독특한 것이 없다.
도리어 이 편에서 중요시되는 점은 전쟁의 표면적 승리보다도 전쟁의 궁극적 목표를 달성하였는가의 여부를 묻고, 또 군주와 장수들에게 감정에 치우친 전쟁의 도발이나 개인적인 분노 때문에 전투를 추구하는 행동을 경고한 신중한 전쟁론인 '신전사상'(愼戰思想)을 제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1편 [시계]의 앞에서 말한 "전쟁이란 나라의 큰일이다. 삶과 죽음을 가르는 곳이며 나라의 존재와 멸망을 가르는 길이니 신중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라는 말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손무는 말하였다.
불로 하는 공격인 화공에는 대상에 따라 다음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 적군의 막사를 불태워 병사와 말을 죽이는 방법이다.
둘째, 적군의 식량 창고를 불태우는 방법이다.
셋째, 적의 보급물자를 불태우는 방법이다.
넷째, 적의 보급창고를 불태우는 방법이다.
다섯째, 적의 운송 수단을 불태우거나 보급로를 화공으로 가로막는 방법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 화공술을 실시하려면 반드시 일정한 조건이 갖추어져야 하며, 목표에 따라서 적절하게 불 붙일 도구와 재료를 확보해 두어야 한다. 또 화공에는 불을 놓는 적절한 때와 불이 일어나는 적절한 날이 있다. 화공에서 적절할 때란 매마른 계절을 가리킨다. 화공에 적절한 날이란 달이 '기', '벽', '익', '진'의 네 별자리 가운데 한 자리를 지나는 날을 가리킨다. 달이 이 네 별자리를 통과할 때에는 큰 바람이 일기 때문이다.
孫子曰:凡火攻有五:一曰火人,二曰火積,三曰火輜,四曰火庫,五曰火隊.行火必有因,煙火必素具.發火有時,起火有日.時者,天之燥也.日者,宿在箕,壁,翼,軫也.凡此四宿者,風起之日也.
화공을 실시할 때에는 이 다섯 가지 방법을 사용하되, 상황의 변화에 따라서 거기에 맞춰서 임기응변하여야 한다. 적진 안에서 불이 일어나면 빨리 밖을 병력을 동원하여 호응해야 한다. 적진에 불이 일어났는데도 적이 여전히 침착하게 인정을 유지하고 있으면, 밖에서 조급하게 공격하지 말고 상황을 지켜 보면서 기다려야 한다. 불길이 가장 치열해졌을 때 공격이 가능한 상황이면 공격을 하고, 공격이 불가능한 상황이면 공격을 포기해야 한다.
화공은 적진 밖에서 가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적진 안에서 내통자가 불을 지르기를 기다리지 말고, 호공의 때와 조건이 성숙되면 외부에서 직접 적진에 불을 질러야 한다.
불은 바람이 불어오는 쪽을 등지고 놓아야 하며, 바람을 안고서 화공을 해서는 안 된다.
낮 바람은 오래 불고, 밤 바람은 짧게 불었다가 그친다.
군대가 작전할 때에는 반드시 이 다섯 가지 화공 방법의 변화를 잘 알고서 사용하되, 반드시 화공할 수 있는 때와 조건이 갖추어질 때에만 실시해야 한다.
화공으로 공격을 보조하면 그 효과가 매우 분명하다. 수공으로 공격을 도우면 그 위력이 매우 강하다 . 그러나 수공은 적군을 분산시켜 끊어 놓을 수는 있지만, 화공처럼 적의 물자와 장비를 태워 버리지는 못한다.
凡火攻,必因五火之變而應之.火發于內,則早應之于外.火發而其兵靜者,待而勿攻.極其火力,可從而從之,不可從而止.火可發于外,無待于內,以時發之.火發上風,無攻下風.晝風久,夜風止.凡軍必知有五火之變,以數守之.故以火佐攻者明,以水佐攻者强.水可以絶,不可以奪.
전쟁에서 이기고 적의 영토를 쟁취하였더라도, 그 전쟁의 결과가 본래 목적에 어긋난다면 흉한 일이다. 이를 '인명과 재산을 허비하면서 머물러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지혜로운 군주는 전쟁의 결과를 신중히 검토하며, 훌륭한 장수는 전쟁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라에 유리하지 않으면 군사 행동을 택하지 않으며, 승리의 확신이 없으면 병사를 움직이지 않으며, 위태롭지 않으면 결코 싸우지 않는다.
한 나라의 군주된 자가 한 때의 노여움 때문에 전투를 추구해서는 안 된다. 나라의 이익에 들어맞으면 행동을 취하고, 나라의 이익에 맞지 않으면 진행 중인 전쟁이라도 멈추어야 한다. 노여움은 시간이 흐르면 다시 기쁨으로 바뀔 수 있고, 분노도 시간이 흐르면 다시 즐거움으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나라가 멸망하면 다시 세울 수 없고, 사람이 죽으면 다시 살릴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발고 지혜로운 군주는 전재에 신중하고, 뛰어난 장수는 싸움에 앞서 깊이 경계한다. 이것이 나라의 안전과 군대의 보전을 기하는 길이다.
夫戰勝攻取,而不修其功者凶,命曰“費留”.故曰:明主慮之,良將修之.非利不動,非得不用,非危不戰.主不可以怒而興師,將不可以慍而致戰.合于利而動,不合于利而止.怒可以復喜,慍可以復悅,亡國不可以復存,死者不可以復生.故明君愼之,良將警之.此安國全軍之道也.
손자병법 中 -손무(孫武) 저 / 유동환 옮김
'<손자병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자병법 13. 정보전 [용간篇] (0) | 2016.10.27 |
---|---|
손자병법 11. 지형 활용 [구지篇] (0) | 2016.10.26 |
손자병법 9. 이동과 정찰 [행군篇] (0) | 2016.10.25 |
손자병법 8. 임기응변[九變 篇] (0) | 2016.10.24 |
손자병법 7. 작전 목표[軍爭 篇] (0) | 2016.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