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민심서>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728x90



  5
이전(吏典) 6

3. 사람 쓰기[用人]


아첨 잘하는 자는 충성스럽지 못하고, 간쟁(諫諍)하지 좋아하는 자는 배반하지 않는다. 이 점을 잘 살피면 실수하는 일이 적다.


​​
[다산필담]에 말하였다.
"지위는 비록 낮지만 현령에게도 다스리는 자로서의 도리가 있다. 힘써 아첨을 물리치고 간쟁을 흡족히 받아들이기를 노력해야 한다. 아전과 노비들은 지위가 낮아 감히 간쟁할 수도 없고 아첨하기도 불편하다.

오직 좌수나 우두머리 군교 등이 수령의 안색을 살펴 제대로 말할 수 있다. 아첨으로 비위를 맞추어 수령을 악으로 유도하고, 비방하는 말이 들끓어도 '청송이 고을에 자자하다'고 하며, 수령이 쫓겨날 기미가 있어도 오히려 '오랫동안 재직할 것이니 염려없다'고 하면, 수령은 기뻐하여 이 사람만이 충성스럽다고 여긴다.

그렇게 감영의 공문이 이미 온 것도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조사를 당하게 되면, 어제까지 면전에서 아첨하던 자가 나서서 비행의 증인이 되어 작은 잘못까지도 들추어낸다. 오히려 참고 덮어주는 자는 이전에 간쟁으로 귀찮게 여겨지던 사람이다. 수령 된 사람은 모름지기 크게 반성해야 한다."


후한의 동회(童恢)는 낭야고막(瑯琊故幕)사람으로서 젊어서 지방 고을에서 벼슬살이를 하였는데, 사도(司徒) 양사(楊賜)가 동회의 법 집행이 청렴하고 공평하다는 말을 듣고 그를 불러 채용하였다.

양사가 탄핵을 받고 면직되자 아전들이 모두 자리를 버리고 갔으나, 동회만이 대궐로 가 홀로 간쟁하여 그것이 받아들여졌다. 그러자 아전들이 모두 관청으로 돌아왔으나 동회는 지팡이를 짚고 떠나갔으므로 사람들이 아름답게 여겼다.

막료(幕僚)들에게도 신하의 도리가 있다. 무릇 신하로서 간쟁을 할 수 있는 자는 군주를 배반하지 않는다. 남의 윗사람 된 자는 마땅히 이 이치를 알아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