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한여자

마음을 흔드는 글쓰기 中 - 프리츠 게징 글쓰는 데 몰두하는 시간을 어떻게 짜야 할까? 달리 말하면, 어떻게 해야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 물론 보편적인 답이 있을 수 없지만, 모두가 시험해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해답은 있다. 다음에 소개하는 충고는 여러 작가들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좋은 방법을 찾아보라. 규칙성 원고를 규칙적으로 쓰도록 하라. 어떤 방해에도 휘둘리지 말고, 좋은 감정 상태가 아니거나, 문장이 술술 풀리지 않더라도 글을 써야 한다. 글이 전혀 나오지 않으면 인물과 장면, 문자에 대해 명상하라. 정해둔 작업 구조에 익숙해지도록 하라. 개개인의 창의적인 자아는 특정한 조건에 따른다. '정해둔'이라는 표현은 결코 강제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몰입 규칙성이라는 기본 원칙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 많은.. 더보기
아플수도 없는 마흔이다 中 -이의수 저 연간 탐방객 수가 500만명에 이르는 북한산에 오르다 보면 간혹 죽은 나무들이 그대로 널브러져 있는 모습을 보게 된다. 수명이 다해 죽은 나무도 있고, 벌레 때문에 쓰러진 나무도 있다. 하늘을 향해 뻗어 오르는 건강한 나무들 옆에 쓰러져 있는 나무들이 흉물스럽다고 생각하는 이들에게 북한산 관리자들은 이런글을 붙여 두었다. "나무는 죽지 않습니다. 그대로 숲의 일부가 됩니다." 나무가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말라 죽어서 쓰러지면 산에 사는 벌레들의 좋은 먹을거리가 되거나 버섯들의 집이 되기도 하면서 생장하는 나무들에게 더없이 좋은 거름이 된다. 살아있는 나무는 아니지만 죽어서도 천천히 숲의 일부로 흡수되어가는 것이다. 남성의 운명도 이와 같다. 생장을 멈추었다고 나무나 숲에서 떠나야 하는 것은 아니듯, .. 더보기
오늘의 명언 7/15 오늘의 명언 ​ "​ 기적은 하늘을 날거나 물 위를 걷는 것이 아니라, 땅에서 걸어 다니는 것이다." -중국 속담 더보기
성학집요中 -율곡이이 저 무엇을 사람의 감정이라고 하는가? 기쁨(喜), 성냄(怒), 슬픔(哀), 두려움(懼), 사랑(愛), 미움(惡), 욕망(慾)의 일곱가지이다. 이 일곱 가지는 배우지 않고도 표현할 수 있다. 정자가 말했다. "천지가 정기를 쌓은 것 가운데 오행의 빼어난 것을 얻은 것이 사람이다. 사람의 본질은 참되고 고요하며, 그 본질이 아직 밖으로 표현되지 않았을 때에는 다섯 가지 본성의 요소를 갖추고 있다. 그것을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이라 한다. 형체가 생기면 외부의 사물이 그 몸을 자극하여 중심을 움직인다. 그 중심이 움직여서 나은 것이 일곱 가지 감정이다. 그것을 희(喜), 노(怒), 애(哀), 구(懼), 애(愛), 오(惡), 욕(慾)이라 한다. 감정이 거세어서 더욱 들끓으면 본성이 뚫린다. 이.. 더보기
나의 가치를 높여주는 대화 中 -안은표 저 미소의 힘은 백마다 말보다 강하다. "사람은 자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5백여 년 전 로마의 시인 사이러스의 말이다. 어떤 사람이라도 좌중을 즐겁게 하고 마음을 행복하게 하는 유머의 진원지가 자신이라는 것을 알면 기뻐할 것이다. 그만큼 자기가 매력적이요, 웃음을 창조할 수 있는 원동력이라면 누가 즐겁지 않겠는가. "저는 당신을 좋아합니다. 당신은 언제나 저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사람이니까요." 이런 말을 듣고 즐거워하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 하버드대학의 제임스 교수는 "행동에 뒤이어 감정이 따르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가 않다. 행동과 감정은 동시에 일어난다"고 지적했다. 제임스 교수의 이론대로라면 감정의 변화에 따라 곧 행동이 수반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를 보면 즐거워진다는 말.. 더보기
오늘의 명언 7/14 ​오늘의 명언 ​ "실수를 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지만, 일부러 계속 실수를 하는 것은 고약하게 잘못된 짓이다." ​ -성 아우구스티누스 ​ 더보기
독(讀)한 여자의 마음속글귀 독(讀)한 여자의 마음속글귀 일상의 에너지는 어디에서 나오는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을 때 힘이 솟는다. 해야 할 일이 있을 때 없던 에너지도 만들어진다. 우리가 무력하고 무의미하고 느낄 때 몸의 에너지가 빠져나간다. 몸에 힘이 없다가도 움직이다 보면 힘이 생긴다. 힘이 없다고 마냥 누워만 있으면 더 힘이 없고 의지도 약해진다. 작은 것 하나라도 해내는 힘이 더 큰 에너지로 이어진다. 집안의 작은 먼지를 닦아내는 것도 좋다. 지저분한 물건을 정리하는 것도 좋다. 기운이 없을 때 잠깐 쉬는 것은 좋지만 쉬는 시간이 길어지면 몸과 마음은 더 처지게 된다. 움직임은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by 독(讀)한 여자 장인옥 더보기
세계의 엘리트는 왜 명상을 하는가 中 -와타나베 아이코 저 ※명상을 조금 더 습관처럼 할 수 있는 여덟가지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1. 하루 일정 안에 포함한다. 아침 명사은 자리에서 일어나자마자 하는 것을 추천한다. 기상 후 화장실, 물 마시기, 명상의 3단계로 진행하는 것이다. 2. 명상할 수 있는 장소는 의외로 많다. 비행기 안, 장거리 열차 안, 전철 안, 자동차 안, 사무실(또는 회의실, 휴게실, 화장실) , 백화점(특히, 화장실 주변의 휴게공간) 야외에서의 명상은 피한다. 목촉탕에서의 명상은 피한다. 3. 주체적으로 몰두하고, 편안하게 시작한다. 아침저녁으로 이를 닦듯이 언제 어디서든 하루 두 번 명상하는 것은 중요하다. 4. 명상 도구를 준비한다. 명상 타이머, 벨소리(음성파일), 허리 지지용 쿠션, 무릎 덮개, 좌선용 방석 5. 가족의 협조를 얻는.. 더보기
오늘의 명언 7/13 오늘​의 명언 ​ "​이 세상은 정말 훌륭하게 조성되어 있다. 언제 어디에 있든지 간에 ​ 그 속에 존재하는 우리는 다른 모든 것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 더보기
오늘의 명언 7/12 오늘의 명언 "불행한 말을 본 적이 있는가? 아니면 우울한 새를 본 적이 있는가? 말과 새가 불행하지 않은 이유는 다른 말이나 새들에게 잘 보이려고 애쓰지 않기 때문이다." -데일 카네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