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 작가의 일상 생각

눈으로 살피고
마음으로 이해하여
만약 이를 깨달을 수만 있다면
천하에 거리낌이 없을 것이다.
[청오경]

청오경은 한나라의 풍수지리학자 청오가 묘터를 정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1866년 지리서라 한다.
내용은 구분 없이 풍수지리에 대한 골자를 설명한 것으로 하늘과 땅이 생길 때부터 음과 양으로 구분되어 생겼음을 설명하고, 음양에 청과 탁의 구분이 있으며 청과 탁은 길과 흉을 수반하는 것이 풍수지리의 골자로 가장 중요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산이란 항상 흐르듯 내려가다가도 물을 만나면 멈추고 물은 바로 흘러가다가도 산을 만나면 굽이쳐서 흐르는 것이 산과 물의 중요한 관계이며, 길지와 흉지를 판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함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산수의 성질을 설명하면서 산이란 내를 맞이하는 성질이 있고 물은 스스로 맑고자 하는 본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그 본성이 잘 조화될 때는 산은 흐르고 물은 돌아서 왕후장상이 태어날 길지가 마련된다고 하였다.
이와 반대로 산과 물이 천성을 다하지 못하면 산은 뭉쳐서 뻗지 못하고 물은 흘러서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흉지가 됨을 설명하였다.
또한 산세에는 불축(不蓄)·불급(不及)·등루(騰漏)·배수(背囚)의 흉지가 있기 때문에 잘 살펴야 됨을 강조하고, 나뭇가지와 나무뿌리 사이는 먼 것 같지만 뿌리가 깊으면 가지가 자연 번성하는 것과 같이 부모가 길지에서 시신이 편안하면 자손이 복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이치임을 강조하였다.
그 밖에도 도시와 강·바다·평야 중에도 길지와 흉지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 책은 ≪금낭경 錦囊經≫과 더불어 풍수지리에 대한 양대 기서로 지칭되면서 음양·복술·풍수·지리가에게 많은 애송을 받아 풍수지리의 근간이 되었고,
우리 나라에도 도선(道詵)이 처음 들여온 뒤 많은 풍수지리가를 낳았다. 특히 조선시대에 과거제도의 하나인 잡과(雜科)를 볼 때 풍수지리가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이 책이 과제(科題)로 쓰인 일이 있다. 그 뒤에도 이 책을 근거로 많은 지리풍수설이 발달하여 아직까지도 민간에서는 신앙처럼 유행하고 있다.
규장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청오경 [靑烏經]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묘 터는 이생을 떠난 사람을 위한 공간이다. 삶과 죽음을 아울러 터를 중시하는 경우가 많다.
좋은 터란 내 마음이 편안한 곳이면 좋은 곳이오. 내 마음이 불편한 곳이면 좋지 않은 곳이다. 마음의 기운과 지리적 공간적 기운이 서로 잘 맞으면 좋은 곳일 터이고 그렇지 않으면 좋지 않은 곳일 터이다.
눈으로 살피고 마음으로 이해한다면 스스로 좋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 여겨진다. 이를 알게 된다면 천하에 어디를 다녀도 거리낌이 없을 것이다.
내 앉은 자리가 편하면 좋은 곳이요 내 앉은 자리가 불편하면 좋지 않은 곳이다. 아방궁에 있더라도 마음이 불편하면 좋은 곳이라 할 수 없다.
좋은 자리 나쁜 자리는 마음자리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by 워킹 작가
#단상 #일상생각 #시보며느끼며 #독한여자
#일일일책 #장인옥작가 #위킹작가
일일일책 - YES24
압도하는 책 읽기, 일일일책으로 눈부신 인생을! 독(毒)한 여자의 독(讀)한 이야기평범한 주부는 39세 되던 생일날 독서를 결심한다. 그로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책을 읽었고, 3년 만에 1000권을 독
www.yes24.com
'워킹작가 > 워킹작가의 일상생각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개 늙음을 잊은 자는 망령되고 늙음을 탄식하는 자는 천하다. (0) | 2022.06.22 |
---|---|
푸른 나무 짙은 그늘 아래 여름 해가 긴데 누대 그림자 거꾸러져 못 속으로 들어가네. (0) | 2022.06.21 |
워킹~! 이번 주도 화이팅했어요~💕 (0) | 2022.06.19 |
문장은 기(氣)가 발(發)한 것인데 기는 물과 같고, 글은 물에 뜬 사물과 같다. (0) | 2022.06.19 |
해는 홀로 외롭고, 달은 홀로 즐겁다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