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글을 지으려는 사람은 먼저 독서의 방법을 알아야 한다.
예를들어 우물을 파는 사람은 먼저 석 자의 흙을 파서 축축한 기운을 만나게 되면,
또 더 파서 여섯 자 깊이에 이르러 그 탁한 물을 퍼낸다.
또 파서 아홉 자의 샘물에 이르러서야 달고 맑은 물을 길어낸다.
마침내 물을 끌어올려 천천히 음미해보면,
그 자연의 맛이 그저 물이라 하는 그 이상의 그 무엇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또다시 배불리 마셔 그 정기가 오장육부와 피부에 젖어듦을 느낀다.
그런 뒤에 이를 퍼서 글로 짓는다.
이는 마치 물을 길어다가 밥을 짓고, 희생(犧牲)을 삶고, 고기를 익히며,
또 이것으로 옷을 빨고, 땅에 물을 주어 어디든지 쓰지 못할 데가 없는 것과 같다.
고작 석 자 아래의 젖은 흙을 가져다가
부엌 아궁이의 부서진 모서리나 바르면서 우울을 판 보람으로 여기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할 것이다."
위백규,[김섭지에게 줌] [존재집]
출처: 다산선생의 지식경영법
728x90
반응형
'< 독서노트,독서HAZA365> > 독서노트-201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달'이란 무슨 뜻이냐? (0) | 2015.04.01 |
---|---|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누구나 바로 취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다 (0) | 2015.03.31 |
위대한 인물이 되려면 특별한 기질이 필요한가? (0) | 2015.03.29 |
책을 읽어라. 그것도 매일 말이다. (0) | 2015.03.28 |
사기 서 - 예서中 (0) | 201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