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민심서>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 4. 시행방법[設施]​ 유리걸식하는 자는 천하의 가난한 백성으로 호소할 데가 없다. 어진 수령으로서 마음을 다하고,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 ​ 중국의 진휼정책은 유민 위주이기 때문에 진휼을 받아 온전히 살아난 유민이 많았는데, 우리나라의 진휼정책은 거주민 위주이기 때문에 유리 걸식하는 자는 진휼을 입어도 필경은 다 죽게 되니 어찌 슬프지 않은가? 진휼사목(賑恤事目)에 "무릇 유리걸식하는 자를 구제하는 데 드는 죽.쌀.소금.간장 모두를 수령이 마련해야 하며, 남은 것을 셈하지는 않는다"고 하였으나, 수령이 어찌 반드시 어진 사람만 있겠는가? 객관(客館)앞에 깊이가 한 척 남짓하고 둘레는 몇장 정도 되는 구덩이를 파고,..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 4. 시행방법[設施]​ ​ 소한날에 수령은 일찍 일어나 패전(牌殿)에 나아가 배례하고 나서 진장(賑場)에 나아가 죽을 쑤어 먹이고 쌀을 지급해야 한다. ​ ​ 이날 패전에 나아가 향을 피워 네번 절하고 엎드려 얼마동안 잠자코 있으며 마음속으로 이렇게 아뢴다. '이런 큰일을 당함에 재주가 부족한 소신은 오직 충성과 지혜를 다하여 우리 임금께서 맡겨주신 수많은 적자(赤字)들의 목숨을 보존하려고 합니다. 하늘이 굽어 살피니 소신이 어찌 마음을 다하지 않겠습니까.' 예를 끝내고 나서는 패전의 섬돌에 올라가 앉아서 아전과 군교 들을 불러 모두 패전의 뜰에 엎드리게 하고 다음과 같이 타이른다. "만백성은 우리 임금의 적자요, 굶주.. 더보기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4. 시행방법[設施]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 4. 시행방법[設施] 설시 ​ 진청(賑聽)을 설치하고 감리(監吏)를 두며, 가마솥과 소금.간장.미역.마른 새우 들을 갖추어놓는다. ​ 천하의 모든 일의 성패는 사람을 얻는데 있으니 적임자를 얻지 못하면 그 일을 잘 해나갈 수 없다. 반드시 청렴 하고 신중 하며 일을 잘 아는 이를 골라 도감 1인, 감관(監官)2인, 아전2인을 그자리 두어야 한다. 촌감(村監)은 사람을 더욱 잘 골라야 한다. 늘 보면 촌감은 뇌물을 받고 항아리에 곡식이 저장되어 있는 자에게 식구를 몇명 더 붙여 쌀을 나눠 주고, 의지할 데 없는 홀아비와 과부는 누락시켜 죽어가는 것을 서서 보기만 하고, 아전들과 어울려서 갖은 방법으로 농간질 한다. 이런 사람에게 진휼할 대상을 가려내는 권한을 ..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 3. 세부계획[規模] 규모 다른 고을에서 떠돌아 들어오는 자도 받아들이고, 이 고을에서 떠돌아 나가는 자도 머물러 있게 하여 내 땅 네 땅의 경계를 두지 않는다. ​​이지함(李之菡)이 ​현령이 되었을 때의 일이다. 유민들이 떨어진 옷을 입고 걸식하는 것을 불쌍히 여겨, 큰 집을 지어 수용하고 수공업(手工業) 기술 가르쳐주되 일일이 직접 맞대어 타이르고 친절히 깨우쳐 각기 의식(衣食)을 해결하게 했다. 그 중 가장 못하는 자에게는 볏짚을 주어 짚신을 삼게 하고 독려하니 하루에 능히 짚신 10켤레를 삼았다. 이를 파니 하루에 한 일로 누구나 한 말 정도의 쌀을 마련하고 그 나머지로 옷까지 마련할 수 있었다. 무능한 그들도 몇달.. 더보기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3. 세부계획[規模] 규모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3. 세부계획[規模] ​ 진휼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있으니 첫째는 시기를 맞추는 것이요, 둘째는 규모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불탄 사람과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데 어찌 시기를 늦출 수 있겠으며, 많은 사람들을 다루고 물자를 고루 나눠주는데 어찌 규모가 없을 수 있겠는가? ​ 수재(水災)는 비록 혹심한 것이라도 그 화는 물에 잠긴 지역에 그치고, 바람. 서리. 병충. 우박 등 또한 반드시 온 천하의 재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큰 가뭄이 들어 산이 탈 지경이면 나라의 모든 백성들이 굶주려서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게 된다. 마땅히 입추(立秋)날부터 재빨리 대책을 세워 시각을 다투어 기회를 포착하고, 유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날 쌘 새와 사나운 짐승이 출발 하듯 해..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 2. 부자들에게 베풀도록 함[勸分] ​ 흉년이 들었을 때 재물을 훔치면 소문이 먼 변방에까지 미치고 재앙이 먼 후손에까지 끼치니, 이런 일은 결단코 마음조차 먹어서도 안된다 ​ ​ [한암쇄화]에서 말하였다. ​ "하늘이 준 성품은 원래 선량 하지만 그것이 무너지면 금수만도 못하게 되니, 군자가 아니면 헤아릴 수 없다. ​ 어사가 참욕과 관리의 죄를 논하면서, 굶주리는 사람 수를 4천800명으로 거짓되게 늘려 진휼을 위해 무상으로 나눠 주는 쌀을 훔쳤다는데, 나는 처음에는 믿지 않았으나 탐문하고 살펴보니 과연 무고가 아니었다' 하고, 또 '권분미 150석을 거두면서 한 석을 15냥으로 계산해 총 2천250 냥을 돈으로 걷어 ..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 2. 부자들에게 베풀도록 함[勸分] ​ 권분의 명령이 내려지면 부자는 크게 놀라고 가난한 사람들은 탐욕스러워 진다. 큰 정사에 신중하지 않으면 엉뚱한 공로를 자기 것으로 삼는 자들이 있을 것이다. ​ [다산일초(茶山日鈔]에서 말하였다. "가경 갑술년(1914) 겨울에 한 유생이 군 관청에 들어와 말이 권분에 미쳤는데, 그 유생이 '수령의 명령이 비록 엄하고 하나 백성들이 버틴다면 장차 어찌 하겠습니까?' 하고 묻자, 수령이 '고을의 첫째 부자가 버틴다면 불가불 곤장을 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러자 유생이 참으로 그렇습니다. 곤장이 아니면 바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맞장구 치고는, 관청에서 나와 곧바로 그 부자집으로.. 더보기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2. 부자들에게 베풀도록 함[勸分]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2. 부자들에게 베풀도록 함[勸分] 중국의 권분(勸分)하는 법은 곡식을 팔도록 권하는 것이었지 거저 먹이도록 권하는 것이 아니었으며, 베풀도록 권하는 것이었지 거져 바치도록 권하는것이 아니 었으며, 베풀도록 권하는 것이었지 거저 바치도록 권하는것이 아니었으며, 몸소 솔선하는 것이겠지 입으로만 말하는것이 아니었으며, 상을 주어 권장하는 것이었지 위협하는것이 아니었다. 지금의 권분은 비례(菲禮)의 극치이다 . ​ 증공(證鞏)이 통판(通判)이 되었을 때 일이다. 흉년이 들었는데 상평창(常平倉) 곡식을 헤아려보니 진휼곡으로 주기에는 부족하였고, 농촌에 사는 사람들은 한꺼번에 성 안에 올 수 없고 또 오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한데 모여 전염병이 번지기 우려가 있었다. ..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 ​1. 구휼물자 준비[備資] 강이나 바다의 포구의 경우 모름지기 여각[旅閣]을 살펴 그들의 횡포를 금해 상선이 모여들게 해야 한다. ​ ​ 흉년에 상선이 포구에 정박하면 배주인과 말질하는 사람들이 조정하여 값을 깎아내리고, 관교(官敎)와 읍리(邑吏)가 토색하고 부정을 저지른다. 상인들은 그 소문을 듣고 뱃머리를 돌려 멀리 달아나니, 이 때문에 쌀값은 날로 치솟는다. 수령은 마땅히 상인들의 마음을 기쁘게 하는 데 힘써 그들이 모여들게 하여 돈을 가진 자는 곡식을 살 수 있게 해야 한다. ​ ​#목민심서 #정약용 #목민심서필사 #정선목민심서 #책소개 #책추천 #독서 #책읽기 #주부독서연구소 더보기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 ​목민심서[11부] 진황(賑荒)6조 ​1. 구휼물자 준비[備資] ​ 한해 농사의 작황이 판명되면 빨리 감영에 가서 다른 고을의 곡식을 옮겨오는 것과 조세를 줄이는 것을 의논해야 한다. ​ ​ 영조38년에 삼남에 큰 기근이 들자 교서를 내렸다. "호서 안집사(安集使)의 보고서를 보니 굶주리는 백성들은 내 눈으로 보는 것 같구나. 강화의 쌀 2천 석과 함경도 교제창(交濟倉) 곡식 3만 석을 특별히 지급하도록 하럭하니 각 도의 감사들은 운송방법을 검토해서 신음하고 있는 백성들을 구제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교제창 곡식을 호남에 4만석, 영남에 3만 석 지급하도록 허가한다." ​ 또 교서를 내렸다. "지금 물에 빠진 사람을 건지듯 호남을 도와야 하니, 남북의 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