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책소개,독서HAZA365>/책소개,책속글귀-2020년

한시 漢詩 한 구절

728x90

 

 

 

"梧千年老恒藏曲(오천년로항장곡)이요

梅一生寒不賣香(매일생한불매향)이라

月到千虧餘本質(월도천휴여본질)이요

柳經百別又新枝(유경백별우신지)라"

 

-작가 미상​

퇴계가 그 뜻을 가만히 풀며 음미한다.

 

"오동나무는

천년을 묵어도 그 속에 노래를 지니고 있고

 

매화는

평생 추위와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달빛은

천 번 이지러져도 원래 모양은 남아있고

 

버드나무 줄기는

백 번 찢어내도 또 새로운 가지가 난다"

 

 

 

 

퇴계와 두향의 대화

 

두향이 물었다.

"오동나무가 노래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는 무엇인지요?"

"오동나무는 거문고나 가야금 같은 악기를 만드는 목재가 아니더냐.

 

젊은 오동나무로도 악기를 만들 수 있지만 늙은 오동나무로도 여전히 만들 수 있으니 천년 묵은 오동나무도 그 속에 울림성 좋은 노래를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겠느냐."

 

 

 

 

 

두향이 다시 물었다.

"아아, 그렇군요. 그렇다면 매화가 향기를 팔지 않는다는 건 무슨 뜻인지요?"

 

"그 꽃이 평생을 춥게 지낸다는 표현을 보렴. 매정(梅精ㆍ매화꽃의 정기)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시인이 읊은 것이지.

 

매정은 동짓날에 일점(一点)의 양기로 시작되는 것이 아니더냐. 가장 추운 시절을 견디면서 이 꽃은 속으로 속으로 그 빛과 온기를 돋워 마침내 봄을 피워내지 않더냐.

 

봄이 와서 매화가 피는 것이 아니라, 매화가 피면서 봄을 밀어올리는 것을 우린 알고 있지.

 

어떤 꽃들은 생명이 위태로우면 서둘러 꽃을 피우고 자신은 죽어버리는 방법을 택하지 않더냐.

 

하지만 매화는 절대로 그런 법이 없어. 추위 자체가 삶의 환경 전부라 할 수 있어.

 

춥다고 서둘러 향기를 내어 나비나 벌을 유혹할 생각이 없지. 끝까지 제 봄을 만들어 피워올리니 향기를 팔지 않는다고 하였을 것이니라."

 

 

 

 

 

"나으리의 설명을 들으니 눈앞이 환해지는 듯합니다. 그럼, 달빛이 이지러지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요."

 

"달이 이지러져도 본질은 남아있다는 것은, 현재의 슬픔에 낙망하지 말라는 뜻을 품고 있지.

 

크고 아름답던 달이 반달이 되고 그믐달이 되어 밤하늘을 캄캄하게 할 때, 우린 그걸 현실이라고 생각하고 크게 절망하여 일을 그르치기가 쉽단다.

 

그믐달은 곧 초승달이 되지 않더냐. 달의 크고 작음은 순환하는 것이기에 기다리면 다시 커지는 게 당연한 법.

 

하지만 이 시인은 그렇게 말하지 않고, 달이 이지러졌을 때 그 안에 보름달이 있음을 바라보라고 말하고 있지.

 

그래서 시가 멋이 있구나. 보름달이 달의 본질이니 눈에 닥친 현상만으로 판단하여 본질을 잊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란 이야기일세."

 

​月到千虧餘本質(월도천휴여본질)

柳經百別又新枝(유경백별우신지)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이 남아 있고, 버드나무는 백 번 꺾여도 새 가지가 올라온다.

 

백범 김구 선생이 서거 4개월 전에 쓴 것이 발견되기도 하였다지요. 백범도 좋아했던 내용이 두 구절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