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책소개,독서HAZA365>/책속글귀-2016년

<책속글귀>- 선인들의 공부법 中 (by 주부독서연구소)

728x90

 

장인(匠人)이 물건을 만드는 건 그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다.
물건을 만들어도 쓸모가 없다면 장인은 만들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학문을 해서 쓸모가 없다면 학문은 해서 무엇하겠는가.

 



배우는 자가 도에 대해 들었다 하더라도 그 도가 자기 마음이나 행실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그가 들은 것은 그저 남의 말일 뿐이다. 그러니 자기 자신과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장기나 바둑은 작은 재주지만 마음을 오로지하고 뜻을 다하지 않으면 그 도를 배울 수 없거늘, 하물며 성인(聖人)의 도를 배우고자 하면서 부지런히 힘쓰지 않고서 자득할 수 있겠는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일찍이 종일토록 밥도 먹지 않고 밤새도록 잠도 자지 않고서 생각했으나 유익함이 없었다. 배우는 것만 같지 못했다."
라 하시고 또 말씀하기를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라 하셨는데, 성인께서 무엇 때문에 이처럼 지극히 절박한 말씀을 하셨겠는가? 학문을 잘 하고자 하는 사람은 마땅히 그 까닭을 생각해야 할 것이며, 글귀만 외우거나 건성으로 보아서는 안될 일이다. 공자께서는 "배울 때는 미처 다 배우지 못할까 걱정하고 행여 배움의 때를 놓칠까 두려워해야 한다"라고 하셨거늘, 구차하게 내일부터 공부하겠다고 말하는 것은 자포자기하는 것이라 하겠다.




암기 위주의 공부와 박식을 추구하는 공부는, 물건을 갖고 노는 것과 같아 본심을 잃게 만든다.
 



게으른 마음이 한번 생기면 곧 자포자기에 빠지게 된다.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묻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밝게 분변하고, 독실하게 실천해야 한다.
이 다섯 가지 중에 하나라도 빠뜨린다면 올바른 공부가 아니다

 

 



배움이 크게 이롭다는 것은, 그것을 통해 자신의 기질을 변화시킬 수 있어서다.




의문이 없다면 충실히 공부한 게 아니다. 충실하게 공부하면 반드시 의문이 생기나니, 납득이 되지 않는 것 이것이 곧 의문이다.  



마음이 크면 만사가 다 통하고, 마음이 작으면 만사가 다 병이 된다.
 


안과 밖을 합하고 만물과 나를 평등히 하는 데서 도의 큰 실마리를 볼 수 있다.





이치에 의문이 생기면 옛 견해를 버리고 새로운 의견을 받아들여야 한다. 마음에 깨달은 것이 있으면 즉시 기록해둘 일이다. 생각을 하지 않으면 마음이 도로 막히게 된다.
 


 생각하다가 막히는 곳이 있으면 처음부터 다시 자세히 생각하여 밝게 분변하는 것이 좋은 공부법이다.






만일 아직 학문에 입문하지 못한 상태라면 다그쳐 공부해서도 안되고 쉬엄쉬엄 공부해서도 안된다. 이 도리를 알았다면 모름지기 중단하지 말고 공부해야 한다. 이 도리를 알았다면 모름지기 중단하지 말고 공부해야 한다. 만일 중단한다면 공부를 이뤼 못하나니, 다시 시작하자면 또 얼마나 힘이 들겠는가. 이는 비유컨대 닭이 알을 품는 것과 같다. 닭이 알을 품고 있지만 뭐 그리 따뜻하겠는가. 그러나 늘 품고 있기 때문에 알이 부화되는 것이다. 만일 끊는 물로 뜨겁게 한다면 알은 죽고 말 것이며, 품는 것을 잠시라도 멈춘다면 알은 식고 말 것이다.






경박함을 바로잡고, 게으름을 경계해야 한다.
 


 
공부하는 사람은 욕심을 적게 가져야 한다.

 

출처: 선인들의 공부법 中  -박희병 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