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자병법>

손자병법 4. 형세[形,軍形 篇]

728x90

#손자병법
#형세

4. 형세[形,軍形 ]
-반드시 이길 수 있는 형세를 갖추어야 한다


이 편은 [형](形) 도는 [군형](軍形)이라고 부른다.
군대의 힘을 세(勢)라고 하는 데 군세(軍勢)를 충분히 떨칠 수 있도록 꾀하는 여건을 군형이라고 한다.
이 편에서는 상황이 변함에 따라 균형이 변화하는 모습을 말하고 있다.
그 주요 내용은 군대의 작전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아군을 패배하지 않는 위치에 놓고 나서 적군의 약점을 파악하여 압도적 우세로써 타격을 가하여, 이른바 아군을 보호하면서 완전한 승리를 얻는다(自保而全勝)는 목표에 도달하기까지의 공격과 수비의 요건을 말하고 있다.
5편 [병세](兵勢)와 함께 구체적인 전략 전술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손무는 말하였다.
옛날에 전투에 뛰어난 장수는 먼저 적이 아군을 이기지 못할 태세를 갖추고, 적이 허점을 드러내 아군이 승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를 기다렸다.
그러니 적이 승리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조건은 아군쪽에 달려 있으며, 아군이 적을 이길 수 있는 조건은 적군 쪽에 달려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무리 전쟁에 뛰어난 자라도 적군이 승리하지 못하도록 아군의 대비 태세에 만전을 기할 수는 있어도, 아군이 반드시 적군을 이길 수 있도록 적군의 허점을 마음대로 만들어 낼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리란 미리 알 수는 있으나, 그것을 원한다고 마음대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孫子曰昔之善戰者先爲不可勝以侍敵之可勝不可勝在己可勝在敵善戰者能爲不可勝不能使敵之必可勝故曰勝可知而不可爲




 

 

 


 
적이 승리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은  아군의 수비이며, 아군이 승리를 빼앗을 수 있는 것은 공격이다.
병력이 부족하면 수비를 하고, 병력이 여유가 있으면 공격을 한다.
수비를 잘하는 장수는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땅속에 숨듯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아군의 역량을 깊숙이 은폐시킨다. 공격을 잘하는 장수는 높디높은 하늘 위에서 행동하듯 어떠한 조건에도 거스름 없이 아군의 역량을 최고도로 발휘한다. 그러므로 아군을 온전하게 보전하면서 완전한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不可勝者守也可勝者攻也守則不足攻則有余善守者藏于九地之下善攻者動于九天之上故能自保而全勝也



 



누가 보아도 어느 쪽이 승리할 지를 알 수 있는 상황에서 거둔 승리는 최선의 승리가 아니다. 힘껏 싸워서 천하의 모든 사람들로부터 '잘 싸웠다'는 말을 듣는 승리도 최선의 승리가 아니다. 깃털을 들어오린다고 해서 힘이 세다고 하지 않으며, 해와 달을 본다고 해서 눈이 밝다고 하지 않으며, 우레나 벼락 소리를 듣는다고 해서 귀가 밝다고 하지 않는 것처럼, 밖으로 드러난 상황은 누구나 다 알 수 있기 때문이다.
 
見勝不過衆人之所知非善之善者也戰勝而天下曰善非善之善者也故擧秋毫不爲多力見日月不爲明目聞雷霆不爲聰耳

 






옛날에 전쟁을 잘한다고 일컬어졌던 자들은 모두 이길 수 있는 조건을 다 갖추어 놓고 적과 싸워 쉽게 승리하였다.
따라서 전쟁을 잘하는 인물이 거둔 승리에는 그의 지략이 뛰어나다는 명성이나 용맹스러운 공적이 돋보이지 않았다.
상황이 겉으로 드러나서 어긋나기 전에 미리 조치를 취함으로써 확실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이며, 이는 곧 싸우기 전에 반드시 이길 조건을 갖추어 놓고, 이미 패배할 상황에 처해 있는 적을 상대로 싸워 이건 것이다.
그러므로 전쟁을 잘하는 자는 언제나 패배하지 않는 '불패'의 자리에 서서 적이 패배할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승리하는 군대는 먼저 승리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어 놓고 적과 싸우며, 패배하는 군대는 먼저 싸움을 걸어 놓고 승리를 추구한다.

古之所謂善戰者勝于易勝者故善戰之勝也無智名無勇功故其戰勝不忒不忒者其所措必勝已敗者也故善戰者立于不敗之地而不失敵之敗也是故勝兵先勝而后求戰敗兵先戰而后求勝




 



 
전쟁을 잘 이끌어 나가는 자는 승리하기 위해서 언제나 정치적으로 충분한 준비를 하고, 법제도를 확고하게 갖춘다. 그렇게 해야만 그가 승패의 결정권을 손에 넣을 수 있다.
병법에서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요소가 있다.
첫째는 지형판단이고, 둘째는 물질적인 자원이고, 셋째는 양쪽의 병력 숫자이고, 넷째는 양쪽의 전체적인 전투력 비교이며, 다섯째는 우열과 승패의 상황이다.
국토가 험난한지의 여부와 크기에 따라서 그 지형을 응용하는 계산이 세워지며, 이러한 지형 판단을 바탕으로 거기서 나올 경제력이 결정되며, 결정된 경제력에 근거하여 투입 가능한 병력 수가 계산되어 나오며, 양쪽의 투입 가능한 병력 수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전투태세와 전투력을 견주어 볼 수 있으며, 양쪽의 전투력의 비교에 근거하여 작전의 승패를 판단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투력에서 마치 엄청난 무게로 새털처럼 가벼운 무게를 압도하듯 우세한 군대는 승리하며, 그 반대로 절대적인 열세에 빠진 군대는 패배하기 마련이다.
승리하는 자는 작전을 주도하면서 천 길 높은 골짜기에 가둬둔 물을 한 번에 쏟아 내듯 쌓여 있는 힘을 최대한 발휘하게 한다.
이것이 바로 승리의 기세인 '군형'이다.

善用兵者修道而保法故能爲勝敗之政兵法一曰度二曰量三曰數四曰稱五曰勝地生度度生量量生數數生稱稱生勝故勝兵若以鎰稱銖敗兵若以銖稱鎰勝者之戰民也若決積水于千仞之溪者形也
 

손자병법 中    -손무(孫武) 저 / 유동환 옮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