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책소개,독서HAZA365>/책속글귀-2017년

성학집요(제2절 수기상)中 -율곡 이이 저

728x90




"군자가 방안에 거처하면서
말을 하여도 그 말이 선하면
천리 밖에 있는 사람들까지 반응하는데
하물며 가까운데 있는 사람들이겠는가?

방안에 거처하면서 말을 하여도
그 말이 선 하지 않으면 천리 밖에 있는 사람들과도 뜻이 맞지 않는데
하물며 가까운데 있는 사람들이겠는가?

말은 자기 몸에서 나와서 백성에게 미치고
행동은 가까운 데서 나와 먼 곳에서 나타난다.
말과 행동은 군자에게 지도리와 방아쇠 같이
핵심적인 것이다.
지도리 와 방아쇠樞機가 작용하는 데서 영광과 치욕이 결정된다.

말과 행동은 군자가 하늘과 땅을 움직이는 바탕이니 어찌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주역]< 계사전>입니다 .
역시 공자의 말씀입니다.





절제 채씨가 말했다 .
"말이란 마음의 소리요.
 행동이란 마음이 자취이다.
선 하지 않으면 곧 이치에 어긋난다."

군자가 말과 행동이 선하면
조화로운 기운이 반응하고
선하지 않으면
어긋난 기운이 반응합니다.

조화로운 기운의 반응이 극도의 이르면
하늘과 땅이 제 자리를 잡고 만물이 생육하며,

어긋난 기운의  반응이 극도에 이르면
하늘과 땅이 닫히고 현명한 사람이  숨기 때문에 하늘과 땅을 움직인다고 한 것입니다.

성학집요 (제2절 수기 상) 中   -율곡 이이 저





본심이 타락한지 오래 되면
의리가 투철하게 통하지 못한다.
 
늘 끊임없이 글을 읽고 이치를 탐구하면
물욕이 이기지 못하여 본심 의리가 편안하고 단단해질 것이다.
[주자대전朱子大全] 입니다


✔주자가 말했다
 "온 세상이 이치는 아주 깊고 오묘하며 정밀하여 저마다 나름대로 합당한 바가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바꿀 수가 없다.

오직 옛 성인만이 이치를 다 받기 때문에
그들의 말이나 행동은 후대에 모든 사람들에게 바꿀 수 없는 법도가 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 나머지 이치를 따른 사람은 군자가 되어서 길하고 이치를 저버리는 사람은 소인이 되어서 흉하게 되었다.

크게 길 한 사람은 왕이 되어 모범이 되었고 아주 흉한 사람은 자기 몸도 보존 하지 못하여 경계가 되었다.

이것은 아주 분명한 흔적이며 필연적인 효험으로서 경전과 주석서, 역사서에 모두 실려 있다.

온 세상의 이치를 탐구하려고 하면서 이 점을 고려하여 추구하지 아니하면 담을 똑바로 마주하고 선 것과 같다.
이것이 이치를 탐구 하려면 반드시 독서를 해야하는 까닭이다.





✔또 말했다.

사람이 학문을 하는 까닭은
내 마음이 성인의 마음과 같지 못하기 때문이다.

보통사람들의 마음이 성인의 마음과 같지 못하기 때문에 이치를 밝히는데 밝지 않고,
준칙으로 삼을 것이 없어서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따르기 때문에 자질이 높은 사람은 지나치고,

자질이 낮은 사람은 미치지 못 하면서도
 스스로 지나치고 미치지 못 함을 알지 못한다.

반드시 먼저 깨달은 사람의 말을 바탕으로 삼아 성인의 뜻을 추구하고, 성인의 뜻을 바탕으로 삼아 하늘과 땅의 이치를 깨달아야 한다.


얕은 곳에서 깊은 곳까지 추구하고 가까운 곳에서 먼 곳까지 이르되 차례의 따라 차근차근 나아가야 하며 급히 서두르거나 절박한 마음으로 구해서는 안 된다.







✔또 말했다.

글을 읽되 글 읽기를 즐겨 하지 않는 사람은
게으르고 소홀하며 중단 하는 일이 많아서 성취 하지 못한다.

글 읽기를 즐겨 하는 사람은 또 많이 읽으려고 탐하고 널리 읽으려고 힘써서 자주 그 실마리도 잡지 못한 채 갑자기 그 끝을 찾으려 하며

이것을 깨닫지도 못 했는데 문득 저쪽에 뜻을 두는 것을 면치 못한다.

이런 까닭에 비록 종일토록 부지런히 노력 하고도 쉬지 못하며 마음이 급하고 항상 분주하게 쫓기는 것 같아서 침착하게 푹 잠기는 즐거움이 없다.

 이런 사람들은 스스로 터득한 것을 깊이 신뢰하고 오래도록 실증을 내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에 게으르고 소홀하면 중단 하는 일이 많은 사람과 다를 것이 없다.

공자가 '빨리 이루려고 하면 이르지 못한다.'라고 한 것이나 맹자가 '나가는 것이 빠르면 물러나는 것도 빠르다.'라고 한 것은 바로이 것을 말하는 것이다.


참으로 이것을 거울로 삼아 반성하면
마음이 한 곳에 가라앉아
오래되어도 흔들리지 않아서
글을 읽으면 뜻이 이어지고 맥락이 통하며 저절로 점점 깊이 배워 들어서 흡수하게 되어 마음으로 이치를 깨달아 착한 것에 깊이 권유받고 악한 것을 절실하게 경계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차례를 따라 자세하게 잃는 것이
독서의 방법이다.





 ✔또 말했다.
 글을 읽으면서 의심 할 줄 모르는 것은
처음 배우는 사람의 공통된 문제이다.
이것은 대부분 평소에 많이 읽기만 하고
많이 얻는데 만 힘썼을뿐 자세하게 터득할 겨를도 없이 서둘러 대충 이것저것 마구 읽은 탓이다.

지금 이런 일을 깊이 경계하여 말끔히 씻어 없애고 따로 규범을 세워 글을 보되,
더욱  중요하고 가장 급한 것을 택 하여야 한다.

또한 책 한 권을 보되 하루에 힘을 쓸 수 있는 만큼씩 한두 단락을 보아서
한 단락을 깨달은 뒤 또 한 단락을 보아
책 한권이 끝나면 다른 책으로 바꾸어야 한다.

먼저 마음을 비우고 기운을 고르게 하여 자세히 읽고 정밀하게 생각하여 한 글자 한 구절이 모두 귀결되는 곳이 있고 여러 학자들의 주석과 풀이가 하나하나 일관되게 통한 다음에라야 옳고 그름을 비교하여 성현이 말씀하신 근본 뜻을 찾을 수 있다.

비록 터득하였다 하더라도 또다시 되풀이하여 되새겨서 의리가 살에 배고  골수에 젖은 다음에라야 학문을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또 말했다 .
글을 읽을 때 처음에는 의문이 있는 것을 알지 못 하다가 다음에는 점점 의문이 생기고 중간에는 마디마다 의문이 생긴다.

이런 고비를 지난 뒤 점점 의문이 풀리고 여러가지 사리에 통하여 의문스러운 것이 모두 없어져야 비로소 배웠다 할 수 있다.




✔정자가 말했다.
글을 볼 때에는 먼저 문장의 뜻을 깨달은 다음 알아야 의미를 알 수 있다.
 문장에 뜻도 깨닫지 못하고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구산 양씨가 말했다
 독서를 하는 방법은
몸으로 체험하고 마음으로 검증하여
그윽하고 한가로운 가운데 조용히 한 곳에 집중하여 마음 속으로 깨닫고
책에 씌어진 말과 표현된 의미를 넘어서서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다.
나는 대체로 이와 같이 하였다.



✔주자가 말했다.
 독서를 할 때에는 모름지기 몸가짐을 가다듬고 반듯하게 앉아서 눈을 내리 뜨고
작은 소리로 읽으며 마음을 비운 채
푹 젖어 들어 자신에게 절실하게 성찰 하여야 한다 .

한 구절을 읽으면 이 한 구절을 장차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까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어떤 사람이 물었다.
 평소에 글을 읽을 때에는
깨달은 것이 있는 듯하지만
책을 놓기만 하면 평소 그대로인 것 같은데 문제의 근원이 어디 있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주자가 대답했다.
이것은 몸에서 구하지 않고
오로지 책에서만 구하기 때문에
당연히 그와 같이 되는 것이다.

나의 일상생활에서 도가 아닌 것이 없다.
글이란 이 마음을 도와 연결하는 수단일 뿐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먼저 몸에서 찾은 뒤에
책에서 구하여야만 책을 읽어도
바로 참다운 맛이 있다.


성학집요(제2절 수기상)中 -율곡 이이 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