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덕경>

<도덕경>- 제13장, 내 몸 바쳐 세상을 사랑

728x90

도덕경

제13장
내 몸 바쳐 세상을 사랑
-지도자의 요건, 자기 비움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하고,
고난을 내 몸처럼 귀하게 여기십시오.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한다 함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입니까?

낮아짐을 좋아한다는 뜻입니다.
수모를 당해도 신기한 것,
수모를 당하지 않아도 신기한 것,
이것을 일러 수모를 신기한 것처럼 좋아함이라 합니다.

고난을 내 몸처럼 귀하게 여긴다 함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입니까?

고난을 당하는 까닭은 내 몸이 있기 때문,
냄 몸 없어진다면 무슨 고난이 있겠습니까?


내 몸 바쳐 세상을 귀히 여기는 사람
가히 세상을 맡을 수 있고,
내 몸 바쳐 세상을 사랑하는 사람
가히 세상을 떠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도덕경       -老子 원전. 오강남 풀이
 
 



사본에 따라 원문의 글자가 서로 다르고 글자가 같은 원문을 가지고도 어느 글자를 명사로 보느냐 동사로 보느냐, 평성으로 읽느냐 거성으로 읽느냐 하는 등 읽기에 따라 수십 가지 해석이 있을 수 있는 장이다.


따라서 어차피 한 가지 읽기 방법을 골라잡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글 전체를 놓고 볼 때 이 장에서 말하려는 핵심은 수모를 당한다 하더라도 그다지 노여워하거나 슬퍼하지 말고, 칭찬을 받는다 하더라도 지나치게 신나하거나 우쭐거리지 말라는 것이다.


인간이란 모두 욕먹는 것을 싫어하고 칭찬받​기를 좋아하게 마련이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사실 우리 보통 사람들의 일상 행동 거의가 남의 비난이나 업신여김을 받지 않고, 그 대신 인정을 받고 칭찬과 부러움을 산다는 한 가지 목적에 집중해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님을 발견하게 된다.


우리말에 '남보란 듯 사는것'이 '잘 사는것'의 대명사처럼 쓰이는 것만 보아도 그 사실의 일단을 알 수 있다. '다른 사람들이 흉볼까봐' 혹은 '사람들한테 욕을 먹을까봐' 우리의 행동이 좌우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그런데 어찌 여기서는 수모를 당해도 신기한 것처럼 좋아하고 수모를 당하지 않아도 신기한 것처럼 좋아하라는 것일까? 두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첫째, 남의 비난이 객관적으로 반드시 타당한 것만은 아닐 수 있다는 사실이다.
사람이 사람을 판단할 때 신이 아닌 ​이상 남의 속사정을 속속들이 다 알고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부분 그저 겉보기나 한 부분만 보고 죽일 사람 살릴 사람으로 판단하기 일쑤다. 이런 판단은 어차피 불완전한 것이므로 이런 판단을 전적으로 받아들여 죽느니 사느니 억울하다느니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남이 뭐라 하든 '오불관언', 나는 내 갈 길만 간다는 식으로 고집 불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남의 비평에 너무 방어적(defensive)이거나 책임질(responsible) 필요는 없지만 반응을 보일(responsive)필요는 있다. 남의 비난을 들었을 때 내가 남에게 오해를 살 만한 어떤 일을 했기에​
그런 말을 듣게 되었는가 "신기하게" 생각하고, 그것으로 나 스스로를 살피고 반성하는 계기로 삼고 오히려 감사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둘째,​ 수모를 당해도 그것을 신기한 것처럼 여기고 좋아해야 할 더욱 근본적인 이유는 남의 비난을 윤리적인 차원을 넘어 영적 차원의 장성을 위한 촉진제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내가 수모를 받아 억울해 하고 고통을 받으면 아직 내게 "내 몸이 있음 有身" 때문이다. 따라서 남의 비난을 받아 자존심이 상하는 등 상처를 입는다는 기분이 들면 '아하, 아직 내가 무신 無身의 경지에 이르지 못했구나.' 하고 깨닫고, 이 깨달음에 따라 더욱 열심히 나를 비우고 죽이는 정신적 훈련에 매진하게 되는 것이다.


부처님은 "육중한 바위가 바람에 움직이지 않듯 지혜로운 사람은 남의 칭찬이나 비난에 흔들리지 않는다." {[법구경 法句經​] 6:6}고 했다.

공자님도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 것을 염려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아주지 않는 일이 있나 염려하라." {[논어] 1:16}고 했다.

'남이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 (approval-seeking mentality)'에서 해방되면 얼마나 홀가분한 삶이 될 수 있을까? 여론이다, 인기 관리다, PR 이다 하는 데만 신경을 쓰는 요즘 사회에서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그러기에 더욱 값진 일인지 모르겠다. 아무튼 이런 것이 가능한 사람이라야 지도자로서의 자격이 갖추어진다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