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2부, 책을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정약용 지음

728x90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2부

두 아들에게 주는 가훈

 

멀리 내다 볼주 알아야 한다

 

​又示二子家誡


 

책을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유향(劉向)* 에게는 아들 흠(欽)이 있었고, 두업(杜嶪)*도 임(林)이라는 아들이 있었고, 양보(楊寶)*도 진(震)이라는 아들이 있었으며, 환영(桓榮)*도 전(典)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이처럼 훌륭한 아들이 아버지의 책을 읽을 수 있던 경우는 많았다.

 

너희들에게 바라노니, 다행히 나의 저서에 대하여 깊이 연구한 후 심오한 뜻을 알아주기만 한다면 내가 아무리 궁색하게 지내더라도 걱정이 없겠다.

 

지식인이 책을 펴내 세상에 전하려고 하는 것은 단 한 사람만이라도 그 책의 진가를 알아주기를 바라서이다. 나머지 욕하는 사람들이야 관계할 바 없다.

 

만약 내 책을 정말 알아주는 사람이 있다면, 너희들은 그 사람이 나이 많으면 그를 아버지처럼 섬기고 동년배라면 그와 결의형제라도 맺는 것이 좋으리라.

일찍이 선배들의 저술을 보니 거칠고 빠진 게 많아 볼품없는 책들도 세상의 추앙을 받는 경우가 많고, 자세하고 요령있으며 광범위한 내용을 담은 책들은 오히려 배척받아 끝내는 사라져버리고 전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거듭거듭 생각을 해보아도 그 까닭을 알 수 없었는데 요즈음에야 비로소 깨달았다.

 

군자는 의관을 바르게 하고 똑바로 바라보며 입을 다물고 단전히 앉아 진흙으로 만들어낸 사람처럼 엄숙하게 지내는 생활습관을 지녀야 그가 저술하는 글이나 이론이 독후(篤厚)하고 엄정(嚴正)하게 되며, 그러한 뒤에야 위엄을 뭇사람을 승복시킬 수 있고 명성이 오래도록 퍼져나갈 수 있다.

 

만약 나태하고 경박하며 약삭빠르고 시시껄렁한 농담까지 곁들인다면, 비록 그가 말한 내용이 이치에 깊이 들어맞는다 해도 일반인들은 믿으려 하지 않는다.

 

살아 있는 동안에 뿌리를 박지 못한 책이라면 죽어버린 후에도 저절로 사라지게 되는 것쯤은 당연한 이치일 따름이다. 세상에는 엉성한 사람은 많아도 정통한 사람은 적기 때문에, 누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위엄이나 행동을 버려두고 특별히 알아내기 힘든 의리(義理)를 찾아보려고 하겠느냐?

 

높고 오묘한 학문의 참뜻을 알 수 있는 사람은 날로 수가 적어져서, 비록 주공(周公)이나 공자의 도를 다시 잇고 문장이 양웅(揚雄)* 이나 유향을 뛰어넘고 학술이 있다 해도 알아볼 사람은 없어져간다.

 

너희들은 이 점을 알아차리고 우선 천천히 연구하며 긍지를 지니는 마음가짐에 힘써, 큰 산이 우뚝 솟은 듯 고요히 앉는 법을 습관 들이고 남과 사귀고 일을 처리함에 있어 먼저 기상을 점검하여 자기가 해야 할 본령이 확고하게 섰다는 것을 깨달은 뒤에야 점차로 저술에 임하는 마음을 먹도록 해라.

 

그렇게 하면 한마디의 말과 단 한자의 글자라도 모든 사람들이 진귀하게 여겨 아끼게 될 것이다. 만약 스스로를 니나치게 경시하여 땅에 버려진 흙처럼 여긴다면 이는 정말로 영영 끝장이다.

 

 

 

유향: 중국 전한(前漢)때 학자.관인으로 [열녀전(列女傳)]이 유명하다.

 

두업: 중국 한나라 때 양주자사(凉州刺史)를 지냈다. 자는 자하(子夏).

 

양보: 중국 후한(後漢)때 교수로 은거하며 지냈는데, 왕망(王莽)이 불러도 ㅅㅁ어 나오지 않았다. 후한 광무제가 그 절개 높음을 기려 불렀으나 도중에 죽었다.

 

환영: 중국 후한 때 학자로 관내후(關內候)에 봉해졌다.

 

양웅: 중국 전한 때의 유학자. 자는 자운(子雲). 양자(揚子)라고도 부른다. 저서로는 [법언(法言)]이 있다.

 

#유배지에서보낸편지 #정약용 #유배지에서보낸편지필사 #책소개 #책추천 #독서 #책읽기 #주부독서연구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