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민심서>

​​​::목민심서[12부] 해관(解官)6조-6. 훌륭한 수령은 떠난 후에도 사랑이 남는다[遺愛]

728x90

​​정선(精選) 목민심서 -정약용 저

​목민심서[12부] 해관(解官)6조

6. 훌륭한 수령은 떠난 후에도 사랑이 남는다[遺愛]

 


 

돌에 새겨 덕을 칭송하여 오래도록 보여주자는 것이 이른바 선정비(善政碑)이다. 속으로 반성하여 부끄러움이 없는 것, 이것이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송선(宋宣)이

포천현감이 되었는데, 그곳은 전정(田政)이 잘 다스려지지 않아서 토호들의 토지 겸병(兼倂)이 성하여 백성들이 괴로움을 당하고 있었다.

 

그가 한결같이 법으로 다스리자 토호들이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3개월 만에 물러나게 되었는데, 백성들이 유애비(遺愛碑)를 세웠다.

 

 

정언황(丁彦璜)이

안동부사로 있다가 병 때문에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자 그곳의 유생과 아전, 백성들이 유임하기를 청했지만 그렇게 되지 않자 비를 세우고 추모하였다.

 

그에게 문안하기를 수십년이나 그치지 않았는데, 그의 죽음을 듣고 부의하고 또 제수 보내기를 3년 동안이나 하였다.

 

유정원(乳正源)이

통천군수로 있을 적에 은혜로운 정사가 많았다. 부교리(副校理)를 제수받아 그가 단지 말 한 필의 행장으로 임금의 부름에 응해 가니, 백성들이 어른, 아이를 가리지 않고 말머리를 둘러싸고 소리내어 울며 더러는 길바닥에 누워 일어나지 않으니, 그가 위로하며 타이르고 떠나갔다. 후에 고을 사람들이 동비(銅碑)를 만들어 그의 덕을 칭송하였다.

 

백거이(白居易)가

청석시(靑石詩)에서 "관가의 길 옆에 선 덕정비(德政碑)가 되고 싶지 않네. 실제의 덕이 아니라 거짓말만 새기는구나"라고 하였으니, 선정비를 믿기 어렵게 된 지 오래이다.

 

요즘 사람들은 해임되면 수백 냥을 간사한 향청의 직원과 교활한 아전에게 주어서 유애비를 세우게 한다. 이 돈을 비채(碑債)라 하니, 이것 역시 제 손으로 자기 비를 세우는 따위이다.

 

 

#목민심서 #정약용 #목민심서필사 #정선목민심서 #책소개 #책추천 #독서 #책읽기 #주부독서연구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