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책소개,독서HAZA365>/책속글귀-2016년

<책속글기>-다산성생 지식경영법 中 (by주부독서연구소)

728x90


다산 정약용 선생이 재물을 숨겨두는 방법에 대해 쓰셨어요.
 
그 방법이 무척 지혜롭습니다.
"무릇 재물을 비밀스레 간직하는 것은 베풂만 한 것이 없다. 내 재물로 어려운 사람을 도우면, 흔적 없이 사리질 재물이 받은 사람의 마음과 내 마음에 깊이 새겨져 변치 않는 보석이 된다."





"글을 지으려는 사람은 먼저 독서의 방법을 알아야 한다.
예를들어 우물을 파는 사람은 먼저 석 자의 흙을 파서 축축한 기운을 만나게 되면, 또 더 파서 여섯 자 깊이에 이르러 그 탁한 물을 퍼낸다. 또 파서 아홉 자의 샘물에 이르러서야 달고 맑은 물을 길어낸다. 마침내 물을 끌어올려 천천히 음미해보면, 그 자연의 맛이 그저 물이라 하는 그 이상의 그 무엇이 있음을 깨닫게 된다. 또다시 배불리 마셔 그 정기가 오장육부와 피부에 젖어듦을 느낀다.

그런 뒤에 이를 퍼서 글로 짓는다.
이는 마치 물을 길어다가 밥을 짓고, 희생(犧牲)을 삶고, 고기를 익히며,  또 이것으로 옷을 빨고, 땅에 물을 주어 어디든지 쓰지 못할 데가 없는 것과 같다. 고작 석 자 아래의 젖은 흙을 가져다가 부엌 아궁이의 부서진 모서리나 바르면서 우울을 판 보람으로 여기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할 것이다."
-위백규,[김섭지에게 줌] [존재집]
 
 


 


독서는 푹 젖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푹 젖어야 책과 내가 융화되어 하나가 된다.
푹 젖지 않으면, 읽으면 읽는 대로 다 잊어버려
읽은 사람과 읽지 않은 사람이 별 차이가 없다.
 
소나기가 내릴 때는 회오리바람이 불고 번개가 꽝꽝 쳐서 그 형세를 돕는다.
빗줄기가 굵은 것은 기둥만하고, 작은 것도 대나무 같다.
다급하기는 화분을 뒤엎을 듯하고, 사납기는 항아리로 들이붓는 것 같다.
하지만 잠깐 사이에 날이 개어 햇볕이 내리쬐면 지면은 씻은 듯이 깨끗해진다.
땅을 조금만 파보면 오히려 마른 흙이 보인다.
이것은 다른 것이 아니다.
연못처럼 고였던 것이 능히 푹 적시지 못했기 때문이다.
만약 하늘과 땅의 기운이 성대히 교감하고 거세게 장맛비를 내려, 부슬부슬 어지러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내리게 되면, 땅속 깊은 데까지 다 적시고 온갖 사물을 두루 윤택하게 한다. 이것이 이른바 푹 젖는다는 것이다.

책 읽는 것 또한 그러하다.
서로 맞춰보고 꿰어보아 따져 살피는 공부를 쌓고, 그치지 않는 뜻을 지녀, 푹 빠져 스스로 얻음에 이르도록 힘써야 한다. 이와 반대로 오로지 빨리 읽고 많이 읽는 것만을 급선무로 한다면, 비록 책 읽는 소리가 아침저녁 끊이지 않아 남보다 훨씬 많이 일더라도 그 마음속에는 얻은 바가 없게 된다.
이는 조금만 땅을 파면 오히려 마른 흙인 것과 한가지 이치다. 깊이 경계로 삼을 만하다.
-이덕수 [유척기에게 준 글] [서당사재]
 
 
 

 
"독서에는 반드시 바탕을 먼저 세워야 한다. 무엇을 바탕이라고 하는가. 학문에 뜻을 두지 않으면 독서할 수 없으니, 학문에 뜻을 두려면 반드시 바탕을 세워야 한다. 무엇을 바탕이라고 하는가. 효도와 공경이 바로 그것이다. 모름지가 효도와 공경에 먼저 힘써 바탕을 세운다면 학문은 저절로 몸에 배게 된다.
학문이 몸에 배면 독서는 따로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
-다산 정약용
 
 
 
 
 
 
"내가 몇년 전부터 독서에 대하여 대충 생각해 보았는데 마구잡이로 그냥 읽어 내리기만 하는 것은 하루에 천백 편을 읽어도 오히려 읽지 않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무릇 독서라는 것은 도중에 명의를 모르는 글자를 만날 때마다 넓게 고찰하고 세밀하게 연구하여 그 근본 뿌리를 파헤쳐 글 전체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날마다 이런 식으로 한 종류의 책을 읽는다면 곁들여 수백 가지의 책을 뒤적이게 된다.
이렇게 읽어야 읽는 책의 의리를 효연하게 꿰뚫어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니, 이 점 깊이 명심해야한다."
-다산 정약용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中     -정민 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