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한권>

제5편 ​공야장(公冶長) 1~27

728x90

제5편

​공야장(公冶長)

1.

공자께서 공야장에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사위 삼을 만하다. 비록 감옥에 갇힌 적은 있었으니 그의 죄는 아니었다"고 하시고 딸을 그에게 시집 보내셨다.

공자께서 남용에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나라에 도(道​)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버림받지 않을 것이고,

나라에 도가 행해지지 않을 때에도 형벌은 면할 것이다"라 하시고 형의 딸을 그에게 시집 보내셨다.​

2.

공자께서 자천에 대해 말씀하셨다.

"군자로다, 이런 사람은! 노나라에 군자가 없다면 이 사람이 어디에서 이런 덕(德)을 가지게 되었겠는가?"

3.

자공이 여쭈었다. 저는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너는 그릇이다."

"무슨 그릇입니까?"

"제사에서 곡식을 담는 옥그릇이다."

4.

어떤 사람이 염옹에 대하여 말하였다.

"그는 인하기는 하지만 말재주가 없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 말재주를 가지고 사람들을 대하면 사람들에게 점점 더 미움을 받게 된다.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지만, 말재주를 어디에 쓰겠는가?"

5.

공자께서 칠조개에게 벼슬살이를 시키려 하시자, 그가 말하였다.

"저는 아직 그 일에 자신이 없습니다." 이에 공자께서 기뻐하셨다.

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道)가 행해지지 않아 뗏목을 타고 바다로 떠나가면, 나를 따라올 사람은 바로 자로일 것이다."

자로가 이 말을 듣고 기뻐하지 공자께서 말씀하였다.

"자로는 용맹을 좋아하는 것은 나보다 더하지만, 사리를 잘 헤아려 보지 못한다."

7.

맹무백이 물었다.

"자로는 인(仁)합니까?"

공자께서"모르겠습니다."하고 대답하셨다.

다시묻자, 공자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유는 제후국에서 그 군사의 일을 담당하게 할 만은 하지만,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습니다."

"구는 어떻습니까?" 라고 묻자 공자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구는 천 호나 되는 큰 고을과 경대부의 집안에서 총괄하는 직책을 맡길 만은 하지만,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적은 어떻습니까?"라고 묻자 공자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적은 의관을 갖추고 조정에 서서 손님들을 접대할 만은 하지만,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습니다."

 

 

8.

공자께서 자공에게 말씀하셨다.

"너와 회중에 누가 더 나으냐?"

자공이 대답하였다. "제가 어찌 감히 회와 견주기를 바라겠습니까?

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지만,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알 뿐입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보다 못하리라. 너와 네가 모두 그보다 못하리라."

 

 

9.

재여가 낮잠을 자고 있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썩은 나무에는 조각을 할 수 없고 더러운 흙으로 쌓은 담장에서 흙손질을 할 수가 없다.

재여에 대해 무엇을 꾸짖겠는가?"

공자께서 말씀하셨따. "처음에 나는 사람에 대하여 그의 말을 듣고는 그의 행실을 믿었는데, 이제는 사람에 대하여 그의 말

을 듣고도 그의 행실을 살펴보게 되었다. 재여로 인해서 이를 바꾼 것이다."

 

 

10.

공자께서 말씀하였다.

"나는 아직 강직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 어떤 사람이 대답하였다.

"신정이 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정은 욕심이 많은 것이지 어찌 강직하다고 할 수 있겠느냐?"

 

 

11.

자공이 말하였다.

"저는 남이 저에게 하기를 바라지 않는 일을, 저 또한 남에게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야, 그것은 네가 해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12.

자공이 말하였다.

"선생님의 여러 가르침을 들을 수는 있었지만, 선생님께서 상과 천도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은 들을 수 없었다."

 

 

13.

자로는 들은 것이 있는데 아직 그것을 실행하지 못했을 때는, 다른 가르침을 듣기를 두려워하였다.

 

 

14.

자공이 여쭈었다.

"공문자는 무엇 때문에 '문(文)이라는 시호를 받게 되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영민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으므로, 문이라고 한 것이다."

 

 

15.

공자께서 자산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그는 군자의 도(道) 네 가지를 갖추고 있었다.

처신에는 공손하고, 윗사람을 섬김에는 공경스러우며, 백성을 먹여 살림에는 은혜롭고, 백성을 부릴 때는 의리에 맞게 하

였다."

 

 

1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평중은 사람과의 교제를 잘하였으니, 사귄지 오래되어도 변함없이 공경스러웠다."

 

 

17.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장문중은 집에 큰 거북을 모셔 두고, 기둥머리 나무에는 산 무늬를 조각하고, 동자기둥에는 수초(水草)를 그렸으니, 어찌

그를 지혜롭다 하겠는가?"

 

 

18.

자장이 여쭈었다.

"영윤이 자문은 세 번이나 벼슬에 나아가 영윤이 되었으나 기뻐하는 기색이 없었고, 세 번이나 벼슬을 그만두게 되어서도

성내는 기색이 없이 전에 영윤이 하던 일을 반드시 새로운 영윤에게 알려주었습니다.

그는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충성스럽구나."

"인합니까?"

"모르긴 해도 어찌 인하다 하겠느냐?"

"최자가 제나라 임금을 시해하자, 말 사십 필을 소유하고 있던 진문자는 이것을 버리고 그것을 떠났습니다.  그는 다른 나

라에 이르러, '이 사람도 우리 나라 대부 최자와 같다'고 하고는 그곳을 떠났습니다. 다른 나라에 가서 또 말하기를 '이 사람

도 우리 나라 대부 최자와 같다'고 하며 떠나갔습니다.

그는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청렴하구나."

"인합니까?"

"모르긴 해도 어찌 인하다 하겠느냐?"

 

 

19.

계문자는 세 번 생각한 뒤에야 행동을 하였다.

공자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셨다. "두 번이면 된다."

 

 

20.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영무자는 나라에 도(道)가 행해질 때는 지혜롭게 행동했고, 나라에 도가 행해지지 않을 때는 어리석은 듯이 행동했다. 그

지혜는 누구나 따를 수 있으나 그 어리석음은 아무나 따를 수가 없다."

 

 

21.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실 때 말씀하셨다.

"돌아가리라, 돌아가리라! 내 고향의 젊은이들은 뜻은 크지만 일에는 미숙하고, 훌륭하게 기본은 갖추었지만 그것을 재량

하는 방법을 알지 못한다."

 

 

2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이와 숙제는 남의 옛 잘못을 염두에 두지 않았고, 이 때문에 이들을 원망하는 사람도 드물었다."

 

 

23.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누가 미생고를 정직하다 했는가" 어떤 사람이 그에게 식초를 얻으러 가자, 그는 이웃집에서 얻어다가 주었다고 한다."

 

 

24.

공자께서 말씀하였다.

"듣기 좋게 말을 꾸며 대고 보기 좋게 얼굴빛을 꾸미며 지나치게 공손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다고 하는데, 나도 또

한 이를 부끄럽게 여긴다. 원한을 감추고 그 사람과 벗하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다고 하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럽

게 여긴다."

 

 

25.

인연과 계로가 공자를 모시고 있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각자 자신의 뜻을 말해 보지 않겠느냐?"

자로가 말하였다.

"수레와 말과 좋은 털가죽옷을 벗들과 함께 나눠 쓰다가 그것들이 못쓰게 되더라도 유감스럽게 생각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자 합니다."

안연이 말하였다.

"잘하는 것을 자랑하지 않고 공로를 과시함이 없도록 하고자 합니다."

자로가 여쭈었다. "선생님의 뜻을 듣고 싶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노인들은 편안하게 해주고, 벗들은 신의를 갖도록 해주고, 젊은이들은 감싸 보살펴 주고자 한다."

 

 

26.

공자께서 말씀하였다.

"다 글렀구나! 나는 아직 자기의 허물을 보고서 마음속으로 반성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27.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열 집쯤 되는 조그만 마을에도 반드시 진실됨과 미더움이 나만한 사람은 있겠지만, 나처럼 배우기를 좋아하지는 못할 것

이다."

 

 

 

 

728x90
반응형

'<논어-한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7편 술이(述而) 1~37  (0) 2014.10.21
제6편 ​ 옹야(雍也) 1~28  (0) 2014.10.21
제4편 ​리인(里仁) 1~26  (0) 2014.10.21
제3편 팔일(八佾) 1~26  (0) 2014.10.21
제2편 위정(爲政) 1~24  (0) 201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