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한권>

제10편 향당(鄕黨) 1~18

728x90

 

제10편

향당(鄕黨)

1.

공자께서 마을에 계실 때에는 겸손하고 과묵하여 말을 못하는 사람같으셨다.

​그러나 종묘와 조정에 계실 때에는 분명하게 주장을 펴시되 다만 신중하게 하셨다.

2.

조정에서 하대부와 말씀하실 때에는 강직하셨고, 상대부와 말씀하실 때에는 부드럽게 어울리시면서도 주장을 분명히 하셨으며, 임금이 계실 때에는 공경스러우면서도 절도에 맞게 위엄을 갖추셨다.

3.

임금이 불러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게 하면, 얼굴빛을 바로잡으시고 공경스럽게 발걸음을 옮기셨다.

함께 서 있는 사람에게 인사를 하실 때는, 마주잡은 두 손을 좌우로 돌리며 좌우의 사람들에게 읍을 하셨는데, 읍을 하실 때마다 옷이 앞뒤로 가지런히 움직이셨다.

빠른걸음으로 나아가실 때에는, 손의 움직임이 새가 날개를 편 듯 단정하셨다.

손님이 물러간 후에는 반드시 "손님께서 뒤돌아 보지 않으시고 완전히 떠나셨습니다."라고 보고하셨다.

4.

궁궐의 큰 문에 들어가실 적에도 몸을 굽히시어, 마치 문이 작아 들어가기에 넉넉하지 못한 듯이 하셨다.

문 한가운데에는 서 있지 않으셨고, 다니실 때에는 문지방을 밟지 않으셨다.(임금께서 계시지 않을 때라도) 임금의 자리 앞을 지나실 때에는 낯빛을 바로잡으시고 발걸음을 공경스럽게 하셨으며, 말씀은 말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처럼 하셨다.

옷자락을 잡고 당(堂)에 오르실 때에는 몸을 움츠려 굽히셨고, 숨소리를 죽이시어 마치 숨을 쉬지 않는 사람 같으셨다. 나오시어 한 계단을 내려서시면서 낯빛의 긴장을 푸시어 온화하고 기쁜 표정을 지으셨다.

계단을 다 내려오시어서는 빠른 걸음으로 나아가시는데, 마치 새가 날개를 편 듯이 단정하셨다.

자신의 자리에 돌아오셔서는 공손하고 조심스러우셨다.

5.

규를 잡으실 때에는 몸을 굽히시기를, 마치 그 무게를 이기지 못하시는 듯 조심스럽게 하셨다.

규를​ 잡는 법은, 위로는 읍할 때의 두 손을 마주잡는 위치와 같게 하시고, 아래로는 마에게 묽건을 줄 때 손을 내리는 위치와 같게 하셨으며, 낯빛을 바로잡으시되 두려워하시는 듯한 빛을 띠셨고, 발걸음은 보폭을 좁게 하시면서 뒤꿈치를 끄는 듯하셨다.

가져간 예물을 제후에게 올릴 때는 부드러운 낯빛을 하셨으며, 개인적으로 사람들과 예물을 주고받으며 사귈 때는 온화하고 즐겁게 하셨다.

6.

군자께서는 짙은 보라색과 주홍색으로 옷깃을 달지 않으셨고, 붉은 색과 자주색으로 평상복을 만들지 않으셨다.

더운 계절에는 홑옷으로 된 고운 갈포옷이나 굵은 갈포옷을 입으시되, 반드시 안에 옷을 받치시고 그 위에 입으신 후 외출하셨다.

검은 옷에는 검은 양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으시고, 흰 옷에는 새끼 사슴의 털가죽으로 만든 흰옷을 입으셨으며, 누런 옷에는 여우의 털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으셨다.

평상시에는 입는 갖옷은 길게 하되, 행동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 오른쪽 소매는 짧게 하셨다.

만드시 잠자리옷이 있으셨는데, 길이는 키의 한 배 반이었다.

여우와 담비의 두터운 털가죽을 두툼하게 깔고 지내셨다.

탈상(脫喪)한 뒤에는 폐옥을 가리지 않고 차셨다.

조복(朝服)이나 제복(祭服)이 아니면 반드시 폭을 줄여서 입으셨다.

검은 털가죽옷과 검은 관을 쓰시고는 조문을 하지 않으셨다.

매달 초하루에는 반드시 조복(朝服)을 입고 조정에 들어가셨다.

7.

재계하실 때에는 목욕 후 입으시는 밝고 깨끗한 옷이 있으셨는데, 이는 삼베로 만든 것이었다.

재계하실 때는 반드시 음식을 평소와 달리하셨으며, 거처도 반드시 평소와 달리하셨다.

8.

밥은 고운 쌀이라야 싫어하지 않으셨고, 회는 가늘게 썬 것이어야 싫어하지 않으셨다.

밥이 쉬어 맛이 변한 것과 생선이나 고기가 상한 것은 드시지 않으셨다.

빛깔이 나쁜 것도 안 드셨고, 제철이 아닌 음식도 안 드셨다.

썬 것이 반듯하지 않으면 안 드셨고, 간이 적절하게 들지 않은 것도 안 드셨다.

고기가 아무리 많아도 밥 생각을 잃을 정도로 드시지는 않으셨다.

술만은 한정을 두지 않으셨으나, 품격을 어지럽힐 정도까지 이르시지는 않았다.

사 온 술과 사 온 육포는 드시지 않으셨다.

생강은 물리치지 않고 드셨으나 많이 드시지는 않으셨다.

나라의 제사에서 받은 고기는 하룻밤을 묵히지 않으셨다.

다른 제사에서 나온 고기도 삼 일을 넘기지는 않으셨고, 삼 일을 넘기면 드시지 않으셨다.

식사하실 때는 말씀이 없으셨고, 잠자리에서도 말씀이 없으셨다.

비록 거친 밥과 채소국이라도 반드시 고수레를 하셨는데, 언제나 엄숙하고 삼가는 모습이셨다.

9.

자리가 바르지 않으면 앉지 않으셨다.

10.

마을 사람들과 술을 마실 때에는, 지팡이를 짚으신 노인들이 나가시면 그 때야 나가셨다.

마을 사람들이 역귀(疫鬼)를 쫓는 나례(儺禮)를 행할 때면, 예복을 입고 동쪽 섬돌에 엄숙하게 서 계셨다.

11.

사람을 다른 나라에 보내 문안을 드리실 때에는 그에게 두 번 절하고 보내셨다.

계강자가 약을 보내오자 절하고 받으면서 말씀하셨다.

"제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감히 맛보지는 못하겠습니다."

12.

마굿간에 불이 났었는데, 공자께서 퇴근하시어 "사람이 다쳤느냐?"라고 물으시고는,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으셨다.

13.

임금이 음식을 내려 주시면 반드시 자리를 바로 하고서 먼저 맛을 보셨다.

임금이 날고기를 내려 주시면 반드시 익혀서 조상께 올리셨다.

임금이 산 짐승을 내려 주시면 반드시 그것을 기르셨다.

임금을 모시고 식사를 할 때는, 임금이 고수레를 올리시면 먼저 맛을 보셨다.

병이 들었을 때 임금이 문병을 오시면, 머리를 동쪽으로 두시고 누워 조복을 몸에 덮고 그 위에 띠를 펼쳐 놓으셨다. 임금이 명을 내려 부르시면 수레 준비를 기다리지 않고 걸어서 가셨다.

14.

태묘에 들어가셔서는 일마다 물으셨다.

15.

벗이 죽었는데 돌보아 줄 사람이 없자, "내 집에 빈소를 차리자"라고 하셨다.

벗이 주는 것은 비록 수레나 말일지라도, 제사 지낸 고기가 아니면 절하지 않으셨다.

16.

잠자리에서는 시체처럼 몸을 함부로 하여 눕지 않으셨고, 집에 계실 때에는 엄숙하지는 않으면서도 몸가짐을 소홀리 하지 않으셨다.

상복 입은 사람을 보시면 친한 사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낯빛을 바로잡으셨고, 예복을 입은 사람과 장님을 만나시면 비록 가깝게 지내는 사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낯빛을 달리하셨다.

상복을 입은 사람에게는 수레 위에서도 위에서 표하셨고, 나라의 지도나 문서를 지고 가는 사람에게도 수레 위에서 예를 갖추셨다.

손님으로서 훌륭한 음식을 대접받으시면 반드시 낯빛을 바로잡고 일어서서 예를 표하셨다.

천둥이 심하게 치고 바람이 거세게 불면, 반드시 낯빛을 달리하셨다.

17.

수레에 오르시면 반드시 바르게 서서 손잡이 줄을 잡으셨다. 수레 안에서는 두리번거리지 않으셨고, 말씀을 빨리 하지 않으셨으며, 직접 손가락질 하지 않으셨다.

18.

새들이 사람들의 기색을 살피다가 날아올라 빙빙 돌다가 내려앉았다.

이를 보고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산의 다리에 있는 까투리야, 제철을 만났구나! 제철을 만났구나!"

자로가 그 까투리를 잡아서 바치자, 세 번 냄새를 맡으시고는 일어나셨다.

728x90
반응형

'<논어-한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2편 안연(顔淵) 1~24  (0) 2014.11.02
제 11편 선진(先進) 1~25  (0) 2014.10.30
제9편 자한(子罕) 1~30  (0) 2014.10.23
제8편 태백(泰伯) 1~21  (0) 2014.10.22
제7편 술이(述而) 1~37  (0) 201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