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덕경>

<도덕경>-제26장,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뿌리

728x90

도덕경

제26장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뿌리
-무거움의 힘​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뿌리입니다.
조용한 것은 조급한 것의 주인입니다.

그러므로 성인은 하루 종일 다닐지라도
짐수레를 떠나지 않습니다.
화려한 경관이 있을지라도
의연하고​ 초연할 뿐입니다.
만 대의 전차를 가진 나라의 임금이
어찌 세상에서 가볍게 처신할 수 있겠습니까?

가볍게 처신하면 그 근본을 잃게 되고,
조급히 행동하면 임금의 자리를​ 잃게 될 것입니다.


출처: 도덕경       -老子 원전. 오강남 풀이
 


 
앞 장에서 사람은 땅을 본받아야 한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땅의 무슨 면을 본받아야 한다는 것일까?
바로 땅의 '무거움'을 본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땅은 무거운 것 중에서도 가장 무거운 것이다.
사람, 특히 지도자는 땅의 이런 묵직함을 본받아 중후하고 침착해야 한다.
경박하거나 조급하거나 초조해서는 안 된다.
안달하거나 덤벙거리거나 촐랑거리거나 부산을 떨지 말고 땅처럼 의연해야 한다는 것이다.


땅은 스스로 무거울 뿐만 아니라 산이나 바다나 온갖 무거운 것을 지고 있다.
무거운 짐을 지고 있다.
사람, 특히 지도자는 무거운 짐 지는 것을 무서워하거나 피하지 말아야 한다.
"짐수레를 떠나지 않는다"는 것은 무거운 짐을 벗어던져 버리고 나 몰라라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세상의 짐, 사회의 짐, 형제의 짐을 대신 져야 한다. 남의 어려움을 마다하지 않고 맡아야 한다.


이런 사람은 무슨 구경거리나 신나는 일이 있더라도 들뜨거나 거기에 정신을 팔지 ​않는다.
'연처戀處'는 '제비 둥우리' 라는 등 여러가지 풀이가 있지만, '한가하게 거한다'는 뜻으로 제자리를 지킬 뿐 분주하게 쏘다니지 않는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어떤 그럴 듯한 유혹이나 꾐이 있을지라도 그런 것을 허둥지둥 따라가는 등 경솔하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사물을 높은 차원에서 내려다보기 때문에 사물의 어느 한 면만 볼 때 필연적으로 따르는 단견, 이로 인한 훙분, 조바심 같은 것에 지배되지 않고 자기의 기본 자세에서 흐트러짐이 없이 의연하고 초연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사람, 특히 만대의 병거를 가진 나라의 지도자는 가볍게 처신할 수 없다.
옛날에 부자의 재산을 따질 때 전답의 소출량에 따라 천석꾼, 만서꾼 했듯이 중국에서 나라의 크기를 따질 때도 병거(전차)의 수에 다라 천승지국, 만승지국 등으로 불렀는데​ '만승지국' 정도면 큰 나라에 속했다.

큰 나라든 작은 나라든 지도자 입장에 선 사람은 조그만 일, 사소한 문제로 경거망동輕擧妄動 하거나 부화뇌동附和雷同할 수 없다. 그러면 우선 '근본'을 잃어버리게 된다고 한다.

근본을 잃는다는 것은 자기 목숨을 잃는다는 뜻일 수도 있고, 나라를 잃는다는 뜻일 수도 있다.
어떤 사본에는 '본本' 대신 '신臣'이라는 글자가 나오는데 그렇게 되면 신하, 부하를 잃어버리게 된다는 말일 수도 있다.

경거망동하거나 부화뇌동하면 근본을 잃을 뿐만 아니라 '임금됨'도 잃어버리게 된다고 한다.
임금됨을 잃어버린다는 것은 임금으로서의 자리를 잃는다는 뜻일 수도 있고 자기 스스로를 제어할 힘(self-mastery)을 잃는다는 뜻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더 이상 지도자로서의 자격이 없어져 버렸다는 뜻이다. 결국 자기도 망하고 자기가 속한 집단도 망하는 결과가 온다는 것이다.



우리 주위를 보라. 지도자가 다음 선거를 위한 전술적 차원이나 사소한 당리 당락에 따라 움직이는 일이 얼마나 많은가.
세계 평화, 사회 정의, 인권 존중, 민리 민복 같은 근본적인 대원칙에 따라 무겁고 침착하게, 그러면서도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당장 눈앞의 이해 관계에 따라 정책을 결정하거나 매달 나오는 갤럽 여론 조사의 인기도를 높이기 위해 노심 초사 ​勞心焦思하는 일이 얼마나 많은가.
지도자뿐 아니라 우리 자신은 어떤가? 우리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을 사랑하는가, 혹은 당장 눈앞에 나타나는 화려한 결과에만 신경을 쓰고 있는가?


그때그때 임기 응변 ​臨機應變으로 세상을 살아가고 약삭빠르게 온갖 편법便法​을 써가면서 수선을 떨고 사는 삶이 우선은 '성공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태도같이 보이는 것이 사실이지만, [도덕경]에서는 우리에게 그런 삶에 현혹되지 말라고 경고한다.

묵직하고 조용하게 사는 삶, 어느 면에서 우직하기까지 한 삶이 결국 긴 안목으로 볼때 그런 경박한 삶보다 훌륭하기 때문이다. 하상공이 이 장을 '중덕重德'의 장이라 부른 것처럼, 이 장에서 우리에게 당부하는 것은 '무거움의 위력重德'을 알고 무겁게 살아가라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