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약용책소개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아전은 어떻게 거느릴 것인가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證言 아전은 어떻게 거느릴 것인가 아전들은 그 직업을 세습하고 또 종신토록 한가지 직업에다 한가지 뜻을 정일(精一)히하기 때문에, 그 일에 길이 들고 익숙해서 가만 앉아서 관장(官長)거치기를 마치 여관 주인이 길손 대하듯 한다. 수령이 된 자는 어려서 글짓기와 활쏘기를 익히고 한담(閑談)과 잡희(雜戱)를 일삼다가 하루아침에 부절(符節)을 차고 일산(日傘)을 펴고서 부임하니, 이는 우연히 들른 나그네와 같다. 저들이 허리를 굽히고 숨가쁘게 뛰어다니면서 공손히 대하니, 그들의 속을 모르는 자는 고개를 쳐들고 잘난 체하여 그들을 벌레 보듯 내려다보지만, 어깨를 맞대고 땅에 엎드린 그들이 낮은 ..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고을을 다스리는 방법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영암군수 이종영*에게 당부한다 爲靈巖郡守李鍾英贈言 고을을 다스리는 방법 옛날에 소현령(蕭縣令)이 부구옹(浮丘翁)* 에게 고을 다스리는 방법을 물으니, 부구옹이 이르기를 "나에게 여섯자의 비결이 있는데, 그대는 사흘 동안 목욕재계를 해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소현령이 그 말을 따라 사흘 동안 목욕재개하고 다시 청하니 옹이 먼저 한 글자를 가르쳐주는데, '염(廉)'자였다. 소현령이 일어나 두번 절하고 얼마 있다가 다시 한 글자를 청하니 부구옹이 또 한 글자를 주었는데, '염'자였다. 소현령이 일어나 두번 절하고 다시 가르쳐주기를 청하니 부구옹이 마지막으로 한 글자를 가르쳐주었는데, '염'자였다. 소현령이 두번 절하.. 더보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과문을 익히거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다산의 학생들에게 당부한다 爲茶山睹生證言 과문을 익히거라 글에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과문(科文)이 가장 어렵고, 이문(吏文)은 그 다음이고, 고문(古文)은 그중에서도 쉬운 편이다. 그러나 고문에서부터 길을 찾아들어가는 자는 이문이나 과문에 대해 다시 노력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쉽게 통달할 수 있지만, 과문에서부터 들어가는 사람은 벼슬하여 관리가 되어도 판첩(判牒)을 쓰는 데 모두 남의 손을 빌려야 하고 서(序) 기(記) 비(碑) 명(銘)등을 지어달라고 요구하는 사람이 있으면 몇 글자 쓰지도 못하고 벌써 비루함과 졸렬함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이로써 본다면, 사실 과문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짓는 데 있어 그 방법을 잃었기 때문에..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4부, 현실과 대결하면서 살아가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4​부​ 제자들에게 당부하는 말 다산의 학생들에게 당부한다 爲茶山睹生贈言 현실과 대결하면서 살아가라 노(魯)나라의 공자와 추(鄒)나라의 맹자께서는 위란(危亂)의 세상을 당하여서도 오히려 사방을 두루 돌아다니면서 벼슬하기에 급급하였으니, 이는 진실로 입신양명이 효도의 극치이고 새나 짐승과는 함께 무리지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요즘 세상에서 벼슬에 나아가는 길이란 과거 하나만이 있을 뿐이다. 그런 까닭에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퇴계(退溪) 이황(李滉) 등 여러 선생들께서도 모두 과거를 통하여 벼슬에 나갔으니 그 길을 통하지 않고는 끝내 임금을 섬길 방도가 없음을 알겠다. 근세에 고가(故家)의 후예로서 먼 지방으로 영락되어와서 사는 사람들은 영달할 뜻은 없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