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글쓰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독서노트- 대통령의 글쓰기> 글쓰기도 노력이다. 글쓰기는 쉬워야 한다. 태어날때 환경과 조건은 다르지만 글을 배우고 부터 우리는 글쓰기만큼은 공평하다. 부자던 가난하던 사회적 지위가 높던 낮던 글쓰는 것은 똑같다. 자신의 생각을 적는다. 치유의 효과도 뛰어나다. 글쓰기도 매일 꾸준히 한다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것이 자유로워질 것이다. 이렇게 나름의 결론을 내리는 중이지만 역시 쉽지않다. 글쓰기도 자연스러워야 한다. 억지로 꾸며낸 것보다 물흐르듯 친구에게 말하듯 편안하게 쓰는 것이 최고일 것이다. 자연스러운것이 옳지만 쉽지 않은건 우리는 늘 타인을 의식하기 때문일까?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울때 자신만의 자연스러움이 뭍어나는 글쓰기가 되리라 생각된다. 대통령의 글쓰기는 많이 다를것이다라 생각했다. 하지만 사람을 중심.. 더보기 <책속글귀 - 대통령의 글쓰기> 김 대통령은 경청의 달인이기도 했다. 경청의 '경'은 기울일 경傾이다. 몸을 기울여 들어야 진짜 경청이다. 대통령은 청와대 내부 회의에서도 간혹 "그렇지요? 예~ 내 생각도 그래요."와 같은 추임새만 넣어줬다. 말하는 사람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한 배려였다. 대통령은 지전적 에시이 [다시,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에서 이렇게 말한다. "대화는 얼마나 말을 잘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상대의 말을 잘 듣는 것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대화의 요체는 수사학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말을 경청하는 심리학에 있다. 소크라테스는 '상대방의 말을 경청할 때 비로소 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남의 말에 귀 기울일 줄 모르는 사람은 대화의 실격자요, 인생의 실격자다." (.....) 최경환비서관에 따르면 김 대통령은 퇴임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