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몸의 골조, 뼈
인간은 상대적으로 큰 키에도 불구하고 직립보행을 한다. 몸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뼈대가 잘 발달해 있기 때문에 직립보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의 몸은 높은 빌딩과 같아서 근육은 빌딩의 외형을 형성하는 회반죽의 역할을 하고, 뼈는 철제골조의 역할을 한다. 뼈를 둘러싸고 나머지 모든 기관이 구성되며, 뼈가 없다면 이 구조물은 곧게 서 있지 못한다.
한눈에 골격형을 알아차리는 법
발목과 손목, 손가락 관절 그리고 팔꿈치가 유난히 돌출되어 있다는 것은 신체 내의 골격이 상대적으로 잘 발달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누군가를 살펴볼 때 우리는 그 사람의 신체 중에서 지방과 뼈 혹은 근육 중 어떤 요소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 금세 알아차릴 수 있다.
서로 다른 유형이 섞여 있다 해도 지방이 두드러지면 영양형에 가깝고, 잘 발달된 근육이 눈에 띈다면 근육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에 비해 골격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져 보인다면 골격형 인간의 특성을 많이 가진 경우이다.

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은 바로 '어제 먹었던 것과 똑같은 것이다. 식당에서 새로운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가 드물다.
아주 오랫동안 먹어왔던 음식만이 가장 좋은 음식이어서 다른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너무 느려 터졌어!” 주변에서 종종 이런 말을 듣는 사람들의 외모를 머릿속에 떠올려보면 대부분이 지금 설명하고 있는 골격형의 특징을 지닌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이 좋아하는 음식은 바로 '어제 먹었던 것과 똑같은 것이다. 식당에서 새로운 음식을 주문하는 경우가 드물다. 아주 오랫동안 먹어왔던 음식만이 가장 좋은 음식이어서 다른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기억해둘 것!
골격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신체에 비해 큰 골격, 두드러진 관절 마디 그리고 긴 얼굴이다.
다른 유형의 사람 중에도 이러한 외형이 있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 사람은 대부분 골격형이다.



-----> 이어서
'< 독서노트,독서HAZA365> > 독서노트-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재로 살아가기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 (0) | 2022.04.15 |
---|---|
과학적으로, 나는 어떤 인간형일까?[머리가 두드러진 형] (0) | 2022.04.14 |
과학적으로, 나는 어떤 인간형일까? [근육이 발달한형] (0) | 2022.04.13 |
과학적으로, 나는 어떤 인간형일까? [가슴이 발달한 형] (0) | 2022.04.13 |
과학적으로, 나는 어떤 인간형일까? (0) | 2022.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