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배지에서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조카는장차 큰 사람이 될 것입니다 )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조카는장차 큰 사람이 될 것입니다 答仲氏 학초의 장래에 대하여​ 학초가 지난 경신년(庚申年) 겨울에 독서하는 걸 보고서 큰 그릇의 사람이 될 것으로 벌써부터 알았습니다. 지난해 후아(厚兒)*의 말을 듣고서 전날의 견해에 더욱 확신을 가졌습니다. 올봄에는 그애가 물어온 몇가지 조목을 보고서 놀라움을 금치 못할 정도였습니다. 반고대부(盤皐大夫)*께서 이미 이사 가벼려 온마을에 책을 끼고 가서 글을 배울 만한 곳이 없어져버리고 말았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금년 가을에 이곳으로 데려와서 겨울 동안 가르치고 내년 봄에는 형님 곁으로 들어가서 모시고 있다가 4월이나 5월쯤에 돌아간다면 그애는 반드시 깨달음을 얻어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상례에 대하여)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상례에 대하여 答仲氏 성옹(星翁)의 명정(銘旌)에 대한 제도는 너무 소략하고 예법에 맞지 않는 것으로 옛사람의 뜻이 아닙니다. 명정은 마땅히 3척(尺)의 제도(주척 周尺을 사용함-지은이) 를 회복하여 중목(重木)에 꽂는다면 혼백(魂帛)*의 오류도 바로잡을 수 있고, 또한 대단히 해괴한 풍속으로 치부되지도 않을 것입니다. 모르겠습니다만 어떻습니까? ​ 삼우(三虞)가 졸곡(卒哭)이 되는 것*이 이와 같이 정확하니 이또한 의심없이 바로잡아야 합니다. 다만 상관(喪冠)에 승무(繩武)*하는 법과 최의(衰衣)에 연미(燕尾)*하는 제도를 하루아침에 바꾸어 없애버리면 아마 대단히 괴상하다고 할 텐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우리 형제의 자질(子姪)들은 오직..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형제간의 학문 토론)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형제간의 학문 토론 答仲氏 ​ 예서(禮書)에 대한 연구는 지난가을 이래 많은 질병에 시달리느라 초고를 끝마친 것이 극히 적었습니다. 초본(草本) 5편(編)*을 부칩니다만 모두가 절단되고 뒤섞여 문리(文理)가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중에는 또 처음의 견해를 바꾸어 정본으로 삼고서도 초본에는 고치지 않은 것이 있는데 우선 심심풀이로 봐주십시오. 중간의 초본은 이미 집으로 보내어 아이에게 탈고하게 하였으니, 돌아와야만 질문할 날이 있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비록 초본이기는 하지만 그중에 잘못된 해석이 있으면 조목조목 논박해서 가르쳐주시고 의당 절차탁마(切磋琢磨)하여 정밀한 데로 나아가게 해주십시오. 그러다가 더러 갑이다 을이다 서로 우기며 분..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소학주천] 과 [아학편])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둘째형님께서는 깊이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上仲氏 [소학주천] 과 [아학편] ​ [소학주천(小學珠串)]*은 어린아이들을 위하여 지었습니다. 사람들의 말을 들으니 선생께서도 이러한 문자(文字)를 편집하셨다 하던데, 한집안에서 따로 두개의 문호(門戶)를 세울 필요는 없습니다. 이쪽 것을 사용하는 것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그 문례(文例)가 비록 쓸데없이 긴 듯하나 어린아이들에게 외우도록 하려면 이와 같이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 그 방법은 10단위로 한도를 삼았기 때문에 혹 구차스럽게 채운 것도 있고 피치 못하게 빼놓은 것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 세상에서 통용되는 문자란 이렇게 하지 않으면 행해지지 않습니다. 선생께서 지으신 [몽.. 더보기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3부, [현산어보]에 대하여)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3​부​ 둘째형님께 보낸 편지 [현산어보]에 대하여 上仲氏 책을 저술하는 데 있어 한가지 절대로 소홀히해서는 안되는 것이 있으니, 반드시 십분 유의하심이 어떻겠습니까? [해족도설(海族圖說]*은 무척 기이한 책이니 이것을 하찮게 여겨서는 안됩니다. 도형(圖形)은 어떻게 하시렵니까? 글로 쓰는 것이 그림을 그려 색칠하는 것보다 나을 것입니다. 학문의 종지(宗旨)에 대해 먼저 그 대강(大綱)을 정한 뒤 책을 저술하여야 유용해질 것입니다. 대체로 이 도리는 효제(孝弟)를 근본으로 삼고, 예약(禮樂)으로 꾸미고, 감형(鑑衡) 재부(財賦) 군려(軍旅) 형옥(刑獄)을 포함하고, 농포(農圃) 의약(醫藥) 역상(曆象) 산수(算數) 공작(工作)의 기술을 씨줄로 삼아야 완전해질 것.. 더보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2부, 나의 저서를 후세에 전하거라) -정약용 지음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 지음 ​2부​ 두 아들에게 주는 가훈 저술에 관한 뜻 示二子家誡 나의 저서를 후세에 전하거라 내 일찍이 조괄(趙括)이라는 사람은 불초자(不肖子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조괄은 자기 아버지의 저서를 읽어서 후세에 전했으니 훌륭하지 않으냐? 내가 나라의 은혜를 입어 실낱같은 목숨만은 보전하여 여러 해 동안 곤궁하게 살아오면서 저술한 책이 많아졌다. 다만 한탄스러운 것은 너희들이 내 곁에 있지 않아 미묘한 말과 의미를 전해들을 기회가 적고 문리(文理)가 틔지 못하고 학문을 좋아하는 습성이 생기지 않은 것이다. 몇가지를 억지로 이야기해주어도 듣자마자 잊어먹어 마치 진(秦)나라 효공(孝公)에게 임금 되는 도(道)를 들려주는 것과 같으니 *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 내 아들들이 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