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덕경>

<도덕경>- 제6장, 도는 신비의 여인

728x90

도덕경

제6장


도는 신비의 여인(玄​牝)
-도의 여성적 특성​
 


​계곡의 신은 결코 죽지 않습니다.
그것은 신비의 여인.
여인의 문은 하늘과 땅의 근원.
끊길 듯하면서도 이어지고,
써도 써도 다할 줄을 모릅니다.

 



여기서는 '도'를 '여인'으로 상징하고 있다.
'도'를 상징하는 것으로 갓난아이, 다듬지 않은 통나무, 물 등과 함께 계곡과 여인이 등장한다.
'도'는 골짜기처럼 자기를 낮츤 곳에 두고, 허허하고, 고요하고, 탁 트이고, 모든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동시에 그 품에서 모든 것을 길러내는 일을 한다는 뜻이다.


'도'는 또 여인'과 같다는 것이다.
빈 牝이란 '암수'라 할 때 암에 해당되는 말이지만, 모든 암 중에서 '여인'보다 더 출륭한 것이 어디 있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도는 여인"이라 하는 것이 좋다. 여인 중에서도 '신비의 여인'이라고 한다. 여인 치고 신비스럽지 않은 여인이 어디 있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모든 여성은 신비스런 '도'의 대표자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자식을 낳고 기르는 '어머니'로서의 여인, 생산적 기능의 상징으로서의 여인이 강조되어 있다.
그래서 "여인의 문은 하늘과 땅의 근원"이라고 했다. 약한 것 같지만 끊어지는 일이 없고, 쓰면 줄거나 없어질 것 같지만 언제나 이어지고, 텅 빈 것 같지만 그 곳에서 계속 뭔가를 생산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삼는 이런 '신비의 여인'보다 '도'의 항존성, 수납성, 창조성, 생산성, 개방성을 더 잘 상징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계곡과 여인은 여러 가지로 공통되는 점이 많다. 계곡을, 특히 폭포라도 떨어지는 계곡을 보고 있으면 여인을 보는 듯하다고 그 외형적 모양을 두고 말하는 이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여인도 계곡처럼 자기를 낮은 곳에 두고, 허허하고, 고요하고, 탁 트이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그리고 생산한다는 면에서 서로 같다. 그래서 여기서는 계곡과 여인을 묶어 '도'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아무튼 [도덕경]에서 도를 여인, 특히 어머니로 상징하고 있다는 것은 흥미있는 일이다.
이런 뜻에서 나는 여성 운동가들이 [도덕경]을 여성운동의 '성서'로 삼아도 좋으리라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주장해 오고 있는 터인데, 여성 운동가들이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는지는 모르지만 요즘 서양에서 활발히 거론되고 있는 '여성 신학'에서는 이제 신神을 '하느님 아버지'라 부르는 대신 '하느님 어머니(God the Mother)'로 부르는 것이 더 좋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느님 아버지와 어머니(God the Father and the Mother)'라 부르자는 주장도 있지만, 너무 길고 거추장스러우니까 둘 중 하나를 골라잡아야 한다면 '하느님 어머니'가 훨씬 좋다는 것이다.

궁극 실재로서의 신은 물론 남성이니 여성이니 하는 한 가지 범주에 국한 될 수 없지만 그런 절대적인 신은 인간으롯 상살할 수가 없느므로 뭔가 인간과 가까운 상징으로 이해해 볼 도리밖에 없어서 아버지니 어머니니 하는 상징을 쓰는데, 2,000년 가까이 '아버지'라는 산징을 써 왔지만 지금 와서 돌이켜보면 그 때문에 생기는 부작용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처럼 핵전쟁의 위협이나 공해 문제로 시달리는 시대에는 '하느님 아버지'대신 '하느님 어머니'로 쓰는 편이 이런 문제를 극복하는 데 훨씬 더 도움이된다는 주장이다.


미국 밴더빌트 대학에 있다가 지금 캐나다 밴쿠버신학대학(VST​)에서 가르치는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r)교수의 [신의 모형들(Models of God)이라는 책이 이 방면에서 대표적인 저술이라 볼 수 있다. 그는 이 책에서 하느님을 아버지라 보는 대신 '어머니', '연인', '친구'로 생각할 때 얻어지는 이점을 논의하고 있다.

요컨대 지금까지 공격성, 진취성, 지배성, 경쟁성 등 주로 남성적 특성을 찬양하고 이런 특성을 신과 결부시켜 신을 우리의 대장, 임금, 승리자, 정복자, 주님 등으로 생각했는데 종래까지의 이런 의식 구조나 고정 관념을 청산하고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요즘 서양에서 유행하는 말로 고치면 'deconstruct(해체)'해야 한다.는 뜻이리라. 궁극 실재의 '양陽'적인 면만 아니라 '음陰'적인 면도 혹은 '양'적인 면보다는 '음'적인 면도 혹은 '양'적인 면보다는 '음'적인 면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몇몇 미래학자의 예견이나 어느 종교에서 주장하는 것과 일맥 상통하는 바가 있음은 흥미로운 일이다.

'도'는 신비의 여인, 우리를 낳고 기르고 먹이고 감싸 주는 어머니. 이렇표현이 '만왕의 왕', '민주의 주'보다 훨씬 부드럽고 안온하고 포근하게 들리는 것이 사실 아닐까?


출처: 도덕경     -老子 원전. 오강남 풀이





728x90
반응형